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가결 뒤 조기 대통령 선거가 가시화되면서 ‘제3지대 연대론’ 등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둘러싼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다. 안 전 대표는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 최근 정치권의 추측들은 그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 양강에 밀린 현실을 반영하는 동시에 여전히 유력 대선주자로서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박 대통령 퇴진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일찌감치 탄핵 정국 주도에 나섰지만 그의 지지율은 8~10%에서 수개월째 답보 상태다. 문 전 대표, 반 총장과 함께 ‘빅3’를 형성해 오다 최근 이재명 성남시장에게 빼앗길 처지에 놓였다. 안 전 대표는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헌법재판소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면서도 “경제·외교 분야 등 국정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대통령 선거를 하루라도 빨리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대선의 화두는 공정성장이 될 것”이라며 “콘텐츠로 승부하면 자신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 이르면 3월, 4월 대선 얘기가 나온다.

“경제·외교분야 국정 공백이 두 달째다. 한국은 현재 수술대에 오른 중환자와 같다. 의사 출신으로서 봤을 때 모든 환부를 도려내고 꼼꼼하게 수술하면 만족스럽겠지만 환자가 죽는 우를 범할 수 있다. 미래를 위해 하루라도 빨리 결론을 내는 것이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다.”

▷여·야·정 협의체를 가장 먼저 주장했다. 야당 주장대로 친박(친박근혜)계 지도부의 새누리당을 제외하면 실효성이 있을까.

“정치는 책임지는 것이다. 대통령이 탄핵을 당했는데 새누리당 의원 중 단 한 명도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다. 현재 친박-비박(비박근혜)이 치고받으며 책임을 안 지고 있는 상태에서 뭘 할 수 있겠나. 새누리당이 국정 주도권을 행사하려 한다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정치권 일각에서 개헌론이 제기되고 있다.

“개헌 주장은 오염됐다고 생각한다. 국회 합의와 공론화를 거쳐 국민투표까지 시간상으로 실현 가능한지 묻고 싶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에 이어 새누리당 친박 일부에서 개헌론을 꺼내든 순간 이미 오염돼 버렸다. 책임져야 할 정치세력이 정권 연장의 수단으로 삼는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개헌은 대선주자들이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자가 임기를 시작하면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

▷차기 대선의 화두로 무엇을 제시할 예정인가.

“우리 사회에서 핵심적으로 고쳐야 할 것이 ‘공정’이다.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것, 공정한 산업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사람들이 희망을 갖지 않고, 도전하지도 않고, 경제도 자꾸 가라앉는 핵심 이유는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않아서다.”

▷기업생태계 측면에서 공정성장을 예로 든다면.

“경제나 정치 할 것 없이 경쟁이 국민들에게 좋은 것이란 신념을 갖고 있다. 경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구조를 바꾸는 게 공정성장론의 핵심이다. 영화산업을 예로 들면 우리나라는 중소 영화제작사가 성공할 수 없는 구조다. CJ와 롯데가 수직계열화를 통해 기획은 물론 투자 제작 배급 영화상영까지 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중소 제작사는 물론이고 대형 제작사에도 장기적으로 독이 될 게 뻔하다. 앞으로 할리우드 제작사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아마존 등이 밀고 들어와 영화 사업의 패러다임이 바뀐다면 국내 영화사들도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야권 주자들이 재벌 해체 등을 주장하고 있는데.

“대기업이 그동안 지원을 많이 받았으니 중소기업들과 성과를 나누자는 등의 주장에는 반대한다. 자유민주주의 원칙에 위배되는 얘기다. 경쟁은 자유롭고 공정해야 한다. 그렇게 되지 않을 때 개입해서 자유롭고 공정하게 다시 만들어 주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재벌 개혁도 같은 맥락이다. 재벌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스스로 개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팔을 비트는 시장구조 개혁과 함께 기업과 기업인을 동일시하는 사고에서 탈피해야 한다. 대기업은 대한민국의 자산이지 한 오너 일가의 자산이 아니다.”

▷문 전 대표와 지지율 차이가 많이 난다.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는 말이 있다. 지난 두 달간 탄핵정국에서 내 정치를 하지 않고 나라를 살린다는 심정으로 뛰었다. 그런 것들을 국민이 평가해 주리라 믿는다.”

▷반 총장이나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 등과 연대설이 흘러나온다.

“언급하고 싶지 않다. 기본적 원칙은 박 대통령을 당선시키는 데 역할을 했거나 선거 운동한 사람은 대통령 후보로 나오면 안 된다는 것이다. 자격이 없다.”

▷앞으로 야권 내 후보 단일화에 대한 생각은.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직 대통령 탄핵에 대한 헌재 심판도 남겨두고 있다. 판결이 난 뒤 당 차원에서 논의를 시작하면 그때 (생각을 표명)하면 된다.”

▷대권 레이스가 시작되면 후보들은 무엇을 경쟁해야 하나.

“콘텐츠로 경쟁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콘텐츠가 아니라 이벤트 위주로만 평가하는 측면이 있다. 또다시 콘텐츠 없는 대통령을 뽑을 수는 없지 않나. 더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이 들어서면 우리나라는 망하는 길로 들어선다. 안 망하려면 각 대선 후보의 콘텐츠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필요하다.”

■ 안철수가 말하는 '나의 강점'

"트럼프와 와튼스쿨 동문, 한다리 건너면 다 연결…나는 네 분야서 성과냈다"

“내가 직접 제대로 일하고 성과까지 낸 분야가 보건의료, 과학기술, 창업, 교육, 이렇게 네 가지입니다. 말씀드리고 있는 정책들도 이들 경험이 근간이 된 겁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19일 인터뷰에서 ‘대선주자 가운데 자신의 강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 말로 답을 대신했다. 의사, 안철수연구소 창업, KAIST·서울대 교수 등을 거친 다양한 이력을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대선주자들은 ‘콘텐츠’로 경쟁해야 한다”며 “이벤트 위주로 평가하니 국민들이 ‘정치인은 어떤 놈을 뽑아도 다 똑같네’라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인 각자의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보지 않으면 우리는 또다시 무능한 대통령을 뽑게 되고, 그러면 한국은 망하는 길로 들어설 것”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와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동문이라는 점도 소개했다. 그는 “국내 정치권에서 동문은 아마 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다리 건너면 연결된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 직전 10월 말쯤 (트럼프) 캠프 쪽을 접촉해 얘기를 들어보니 이미 박근혜 대통령을 외교 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더라”고 말했다.

대선주자 중 유일하게 벤처기업인 출신인 그는 “창업이 유일한 희망”이라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가 창업을 육성한다는 방향은 맞았지만 방법이 틀렸다”며 “국가 자금을 지원해 기업 숫자 늘리는 데만 집착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창업 정책에서 중요한 건 돈을 지원하는 ‘금융정책’이 아니라 창업기업의 성공 확률을 높이고,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게 하는 ‘산업정책’ 관점”이라며 “이걸 비판했더니 박 대통령이 굉장히 화를 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손성태/임현우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