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교육에도 건강보험 지원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문규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
국내 당뇨병 인구 1200만명
사회경제적 부담 1조8000억
혼밥·외식늘면 환자도 증가
교육이 의료비 줄이는 방법
국내 당뇨병 인구 1200만명
사회경제적 부담 1조8000억
혼밥·외식늘면 환자도 증가
교육이 의료비 줄이는 방법
“당뇨병 환자와 당뇨 고위험군인 공복 혈당장애 환자를 포함하면 국내 당뇨병 인구는 1200만명에 이릅니다. 당뇨는 환자 개인이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관심은 부족합니다. 당뇨 환자 교육 등에 더 관심을 쏟아야 합니다.”
이문규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사진)은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보건 주제를 ‘당뇨병과의 전쟁’으로 정했다. 당뇨병 극복을 위해 환자 스스로 철저히 자기관리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다.
지난 1월 취임한 이 이사장은 30여년 간 당뇨환자를 돌보며 환자들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11월에는 당뇨 환자 교육을 늘려야 한다는 취지로 국회 토론회도 열었다. 이 이사장은 “당뇨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만으로 치료가 끝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며 “환자가 간호사 영양사 등을 통해 생활습관은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합병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등을 교육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할 여건이 안 되는 개인 병의원을 위해 보건소나 지역 거점병원 등에 교육기관을 지정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중증도가 높은 소아당뇨, 임신성 당뇨, 신장이식 환자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인구 20% 이상이 당뇨 혹은 당뇨 전단계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당뇨는 친숙한 질환이다. 그만큼 관리에 소홀한 질환이기도 하다. 이 이사장은 “증상이 없는 병이지만 놔두면 심장, 뇌혈관, 콩팥, 눈 등에 합병증이 올 수 있다”며 “막대한 치료비 때문에 가정이 해체되기도 하고 사회활동이 힘들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1조8000억원에 이르렀다.
당뇨환자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반도 필요하다. 이 이사장은 “당뇨가 있으면 3개월에 한 번씩 병원에 가 검사와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는 당뇨환자가 구조조정 우선 대상자에 포함되기도 한다”며 “환자가 자신의 병력을 알려도 불이익을 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아당뇨 환자를 위한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학교에 다니면서 인슐린 주사를 제대로 맞지 않고 음식도 잘 챙겨먹지 않는 아이들이 많다”며 “수시로 혈당을 잴 수 있는 혈당측정기,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펌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혼자 사는 사람이 늘면서 혼밥, 외식 등이 많아지면 당뇨환자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했다. 이 이사장은 “달고 짜고 매운 조미료를 많이 넣은 식당 음식을 먹고 패스트푸드를 매일 먹으면 당뇨 위험이 커진다”며 “혼자 식사하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맞춰 균형잡힌 한식을 먹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당뇨 예방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음식을 골고루 먹는 생활습관을 교육해야 한다”며 “교육을 통해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이문규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사진)은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보건 주제를 ‘당뇨병과의 전쟁’으로 정했다. 당뇨병 극복을 위해 환자 스스로 철저히 자기관리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다.
지난 1월 취임한 이 이사장은 30여년 간 당뇨환자를 돌보며 환자들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11월에는 당뇨 환자 교육을 늘려야 한다는 취지로 국회 토론회도 열었다. 이 이사장은 “당뇨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만으로 치료가 끝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며 “환자가 간호사 영양사 등을 통해 생활습관은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합병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등을 교육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할 여건이 안 되는 개인 병의원을 위해 보건소나 지역 거점병원 등에 교육기관을 지정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중증도가 높은 소아당뇨, 임신성 당뇨, 신장이식 환자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인구 20% 이상이 당뇨 혹은 당뇨 전단계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당뇨는 친숙한 질환이다. 그만큼 관리에 소홀한 질환이기도 하다. 이 이사장은 “증상이 없는 병이지만 놔두면 심장, 뇌혈관, 콩팥, 눈 등에 합병증이 올 수 있다”며 “막대한 치료비 때문에 가정이 해체되기도 하고 사회활동이 힘들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1조8000억원에 이르렀다.
당뇨환자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반도 필요하다. 이 이사장은 “당뇨가 있으면 3개월에 한 번씩 병원에 가 검사와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는 당뇨환자가 구조조정 우선 대상자에 포함되기도 한다”며 “환자가 자신의 병력을 알려도 불이익을 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아당뇨 환자를 위한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학교에 다니면서 인슐린 주사를 제대로 맞지 않고 음식도 잘 챙겨먹지 않는 아이들이 많다”며 “수시로 혈당을 잴 수 있는 혈당측정기,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펌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혼자 사는 사람이 늘면서 혼밥, 외식 등이 많아지면 당뇨환자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했다. 이 이사장은 “달고 짜고 매운 조미료를 많이 넣은 식당 음식을 먹고 패스트푸드를 매일 먹으면 당뇨 위험이 커진다”며 “혼자 식사하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맞춰 균형잡힌 한식을 먹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당뇨 예방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음식을 골고루 먹는 생활습관을 교육해야 한다”며 “교육을 통해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