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0여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한 국민은행 외에 다른 은행들도 잇따라 희망퇴직을 시행하고 있다.

핀테크(금융+기술)가 발전하고 모바일·인터넷뱅킹이 확산되면서 지점 수가 줄어드는 등 인력 감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증가 등으로 올해 실적이 괜찮아 대규모 희망퇴직금을 감당할 여력이 생긴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호시절 끝난 은행…희망퇴직 '칼바람'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 SC제일은행 등은 지난달부터 대규모 희망퇴직을 했거나 조만간 할 예정이다. 올초 희망퇴직제도를 없앤 기업은행 등 몇 곳을 제외한 대부분 은행에 희망퇴직 ‘칼바람’이 불고 있다.

농협은행은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작년(344명)보다 19%가량 많은 410명이 몰렸다.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직원이면 누구나 퇴직금 외에 20개월치 급여를 받고 퇴직하는 조건이다.

SC제일은행은 지난달 희망퇴직을 시행해 66명의 직원을 내보내기로 했다. 올해는 만 49세 이상으로 대상자를 제한했지만 적지 않은 인원이 몰렸다. SC제일은행은 지난해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전 직원의 20%에 가까운 961명이 은행을 떠났다.

광주은행도 지난달 만 40세 이상 15년 이상 근속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지난해(88명)보다 많은 102명을 퇴직시켰다.

하나은행은 이달 22일부터 26일까지 만 38세 이상, 근속 기간 10년 이상인 직원을 대상으로 ‘준정년퇴직’ 희망자를 접수한다. 직급에 따라 22~27개월치 급여를 특별퇴직금으로 지급하는 조건이다. 또 최대 2000만원의 자녀학자금과 최대 1000만원의 건강관리 지원금을 준다. 퇴직 후 재취업이나 창업 지원금으로도 500만원을 준다.

우리은행은 이달 26일까지 ‘전직 지원 프로그램’ 신청자를 받고 있다. 임금피크제 대상자는 물론이고 일반 직원도 신청할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올해 은행권의 희망퇴직은 3600여명으로 추정되는 지난해 규모를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