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 효과' 코스피 뒷걸음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관 매도에 2020선으로
코스닥은 이틀 연속 상승
코스닥은 이틀 연속 상승
코스피지수가 ‘배당락 효과’에 2020선으로 뒷걸음질쳤다. 배당받을 요건을 갖추는 날(27일)이 지나자마자 기관이 대거 매도에 나서 주가가 떨어졌다. 코스닥은 바이오주 강세로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코스피지수는 28일 17.68포인트(0.87%) 떨어진 2024.49로 장을 마감했다. 배당락일을 맞아 주가가 떨어진 데다 매도세도 몰리면서 2040선이 무너졌다. 배당기준일이 지나면 주식을 사도 현금배당을 받을 수 없어 배당 규모만큼 주가가 하락하는 배당락 효과가 생긴다. 이날 개인은 2693억원, 외국인은 909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기관이 3677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삼성전자(-0.61%) SK하이닉스(-0.66%) 현대차(-0.69%) 등 시가총액 상위주가 고루 떨어졌다. 특히 고배당주와 배당에 유리한 우선주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한국전력은 전날보다 4.15% 하락했다. 배당수익률(6.88%)과 맞먹는 하락폭이다. 광희리츠(-12.78%) 대신증권우(-5.82%) 두산우(-6.76%) 메리츠종금증권(-6.2%) KT&G(-2.83%) 등도 주가가 떨어졌다.
배당락 효과는 장 초반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올해는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2009~2015년 코스피200지수는 배당락 효과로 매년 하락 출발했지만 종가는 네 번 상승으로 마감했다. 지난해에는 -0.45%로 시작해 0.22% 상승으로 장을 마쳤다.
구용욱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은 “전날 반등세를 이어가기엔 수급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연초 코스닥 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유가증권시장의 배당락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날 코스닥지수는 1.44% 오른 627.27에 장을 마쳤다. 기관은 539억원어치를 팔았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06억원, 708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코스피지수는 28일 17.68포인트(0.87%) 떨어진 2024.49로 장을 마감했다. 배당락일을 맞아 주가가 떨어진 데다 매도세도 몰리면서 2040선이 무너졌다. 배당기준일이 지나면 주식을 사도 현금배당을 받을 수 없어 배당 규모만큼 주가가 하락하는 배당락 효과가 생긴다. 이날 개인은 2693억원, 외국인은 909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기관이 3677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삼성전자(-0.61%) SK하이닉스(-0.66%) 현대차(-0.69%) 등 시가총액 상위주가 고루 떨어졌다. 특히 고배당주와 배당에 유리한 우선주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한국전력은 전날보다 4.15% 하락했다. 배당수익률(6.88%)과 맞먹는 하락폭이다. 광희리츠(-12.78%) 대신증권우(-5.82%) 두산우(-6.76%) 메리츠종금증권(-6.2%) KT&G(-2.83%) 등도 주가가 떨어졌다.
배당락 효과는 장 초반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올해는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2009~2015년 코스피200지수는 배당락 효과로 매년 하락 출발했지만 종가는 네 번 상승으로 마감했다. 지난해에는 -0.45%로 시작해 0.22% 상승으로 장을 마쳤다.
구용욱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은 “전날 반등세를 이어가기엔 수급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연초 코스닥 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유가증권시장의 배당락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날 코스닥지수는 1.44% 오른 627.27에 장을 마쳤다. 기관은 539억원어치를 팔았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06억원, 708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