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금융 대도약] 이제는 성장이다…금융 '한계의 틀' 뛰어넘어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유년 금융 대전망 Index
2017년 한국 금융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안고 출발했다. 올해 금융권에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상승과 소비·투자 위축, 한계기업 증가와 가계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최대 이슈가 될 전망이다.
취약 업종 구조조정이 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금리에 상승 압력이 작용하면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 한계기업과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가중돼 대출 부실화를 확산시키는 도화선이 될 수 있어서다.
대외 여건도 심상치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장이라는 큰 변수가 있다. 보호무역주의가 강해지면서 가뜩이나 구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위협받을 수 있다.
국내 경제 회복 지연과 성장성 둔화 가능성으로 은행업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비(非)은행업 상황도 다르지 않다. 비은행 금융회사들은 제도·금융시장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경영 성과가 좌우된다. 대외 변수에 따른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는 의미다. 보험회사는 새로운 회계기준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고, 여신전문금융회사는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새로운 출구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급변하는 금융 환경도 금융회사에 큰 위협 요인이다. 연초 인터넷전문은행이 본격 출범을 앞두고 있다. 핀테크(금융+기술)를 앞세운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전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기 시작하면 금융산업의 균형추가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송금 등 분야에서는 벌써부터 핀테크 업체들이 금융회사의 전통적인 업무 영역을 잠식하고 있다.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관행적인 영업 공식에 얽매여서는 더 이상 살아남기조차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위기가 아닌 해는 없었다. 금융회사들은 이 같은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재창립 수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멈칫거리다 보면 도태될 수 있다는 절박함이 깔려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존과 안정적 경영에만 매달렸던 금융회사들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패러다임 전환기 속에서 금융회사들이 퀀텀점프(대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금융업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고(高)임금·저(低)효율, 보수적인 조직 문화 등을 털어내는 기회로 삼자는 얘기도 나온다.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변화들이 금융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선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미 새로운 금융 수요도 창출되고 있다. 핀테크 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비대면 금융 거래가 나타나고 있다. 급속히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로 종합적인 자산관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담보 대출, 소액 대출 등 각 금융회사는 자신만의 강점을 살려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시장을 찾아 세계 곳곳을 누비고 있다. 도태와 도약, 기로에 선 한국 금융회사들이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시작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신한 등 금융지주 회장 교체 등 내부 변수와 정치 경제 등의 외부 변수 모두가 녹록지 않다”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겠다는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취약 업종 구조조정이 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금리에 상승 압력이 작용하면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 한계기업과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가중돼 대출 부실화를 확산시키는 도화선이 될 수 있어서다.
대외 여건도 심상치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장이라는 큰 변수가 있다. 보호무역주의가 강해지면서 가뜩이나 구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위협받을 수 있다.
국내 경제 회복 지연과 성장성 둔화 가능성으로 은행업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비(非)은행업 상황도 다르지 않다. 비은행 금융회사들은 제도·금융시장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경영 성과가 좌우된다. 대외 변수에 따른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는 의미다. 보험회사는 새로운 회계기준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고, 여신전문금융회사는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새로운 출구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급변하는 금융 환경도 금융회사에 큰 위협 요인이다. 연초 인터넷전문은행이 본격 출범을 앞두고 있다. 핀테크(금융+기술)를 앞세운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전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기 시작하면 금융산업의 균형추가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송금 등 분야에서는 벌써부터 핀테크 업체들이 금융회사의 전통적인 업무 영역을 잠식하고 있다.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관행적인 영업 공식에 얽매여서는 더 이상 살아남기조차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위기가 아닌 해는 없었다. 금융회사들은 이 같은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재창립 수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멈칫거리다 보면 도태될 수 있다는 절박함이 깔려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존과 안정적 경영에만 매달렸던 금융회사들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패러다임 전환기 속에서 금융회사들이 퀀텀점프(대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금융업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고(高)임금·저(低)효율, 보수적인 조직 문화 등을 털어내는 기회로 삼자는 얘기도 나온다.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변화들이 금융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선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미 새로운 금융 수요도 창출되고 있다. 핀테크 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비대면 금융 거래가 나타나고 있다. 급속히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로 종합적인 자산관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담보 대출, 소액 대출 등 각 금융회사는 자신만의 강점을 살려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시장을 찾아 세계 곳곳을 누비고 있다. 도태와 도약, 기로에 선 한국 금융회사들이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시작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신한 등 금융지주 회장 교체 등 내부 변수와 정치 경제 등의 외부 변수 모두가 녹록지 않다”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겠다는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