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깨우는 한시 (18)] 아송구년(我送舊年) 여영신년(汝迎新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송구년 (我送舊年) 나는 묵은 해를 보낼 터이니
여영신년 (汝迎新年) 당신은 새로운 해를 맞으소서
여영신년 (汝迎新年) 당신은 새로운 해를 맞으소서
100여년 전의 연하장은 닥종이에 정성스럽게 먹을 갈아 글씨를 썼을 것이다. 여덟 글자라는 절제미로써 더 높은 완성도를 추구했으리라. 발신인은 일본 가마쿠라(鎌倉)에 소재한 원각사(圓覺寺) 관장(최고어른)인 샤구소우엔(釋宗演·1860~1919) 선사다. 선사는 교토(京都)의 하나조노(花園)대학 학장을 지냈다. 선(禪)을 ‘젠(ZEN)’이란 명칭으로 미국과 유럽사회에 처음 소개했으며, 그 과업은 제자인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1870~1966)로 이어졌다. 수신인은 조선 변산반도 월명암(月明庵)의 백학명(白鶴鳴·1867~1929) 선사다. 두 선사는 1915년 원각사 방장실에서 처음 만났다. 고수끼리는 긴말이 필요 없다. 이 인연으로 이듬해 1916년 새해 인사와 안부를 묻는 한시 연하장이 도착한 것이다.
구년과 신년은 섣달 그믐날(12월31일) 밤 12시를 기점으로 바뀐다. 12시는 마지막 시각이지만 0시는 새로 시작하는 시각이다. 하지만 12시가 곧 0시다. 따라서 끝인 동시에 시작인 것이다. 그래서 학명 스님은 ‘세월(歲月)’이라는 시를 통해 “끝과 시작을 구별해 말하지 말라(妄道始終分兩頭)”고 했을 것이다. 그리고 “작년의 하늘을 보고 또 신년의 하늘을 봐도 별다른 차이가 없다(試看長天何二相)”고 부연설명 삼아 한 줄을 더 보탰다.
그럼에도 현실 세계는 구년은 구년이고 신년은 신년이다. 인쇄체로 박은 ‘영혼 없는’ 연하장을 몇 통 받았고, 마지막 해넘이와 첫 해돋이를 겸하고자 북한산 둘레길을 걸었다. 문수봉 자락에서 올해의 마지막 일몰을 감상하고 일출을 보기 위해 대남문(大南門) 인근의 사찰에서 신발끈을 풀고서 하루를 묵었다. 신년의 총총한 새벽별 아래 모자에 랜턴을 단 해돋이 참가 행렬이 산 아래까지 드문드문 이어졌지만 정작 해 뜰 무렵에는 구름이 희뿌옇게 산과 하늘을 가린다. 이를 어쩌나! 학명 스님 표현을 빌리자면 작년 해와 올해의 해가 다를 리 없으니 어제 해넘이 감동을 오늘 아침 해돋이 느낌으로 대치하면 될 터이다.
원철 < 스님(조계종 포교연구실장) >
구년과 신년은 섣달 그믐날(12월31일) 밤 12시를 기점으로 바뀐다. 12시는 마지막 시각이지만 0시는 새로 시작하는 시각이다. 하지만 12시가 곧 0시다. 따라서 끝인 동시에 시작인 것이다. 그래서 학명 스님은 ‘세월(歲月)’이라는 시를 통해 “끝과 시작을 구별해 말하지 말라(妄道始終分兩頭)”고 했을 것이다. 그리고 “작년의 하늘을 보고 또 신년의 하늘을 봐도 별다른 차이가 없다(試看長天何二相)”고 부연설명 삼아 한 줄을 더 보탰다.
그럼에도 현실 세계는 구년은 구년이고 신년은 신년이다. 인쇄체로 박은 ‘영혼 없는’ 연하장을 몇 통 받았고, 마지막 해넘이와 첫 해돋이를 겸하고자 북한산 둘레길을 걸었다. 문수봉 자락에서 올해의 마지막 일몰을 감상하고 일출을 보기 위해 대남문(大南門) 인근의 사찰에서 신발끈을 풀고서 하루를 묵었다. 신년의 총총한 새벽별 아래 모자에 랜턴을 단 해돋이 참가 행렬이 산 아래까지 드문드문 이어졌지만 정작 해 뜰 무렵에는 구름이 희뿌옇게 산과 하늘을 가린다. 이를 어쩌나! 학명 스님 표현을 빌리자면 작년 해와 올해의 해가 다를 리 없으니 어제 해넘이 감동을 오늘 아침 해돋이 느낌으로 대치하면 될 터이다.
원철 < 스님(조계종 포교연구실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