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첫 기준금리 '동결'…금융불안·가계부채 우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첫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국내 경제성장 둔화 및 소비위축에 따른 내수 부진 우려가 크지만 금융시장 불안, 가계부채 문제 등으로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는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6월 한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7개월째 동결 기조를 이어간 것이다.

앞서 시장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봤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시장 전문가 102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전원이 현 금리수준 유지를 예상했다. 이들은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가계 부채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지난해 12월 정책금리를 인상한 뒤 올해 2~3차례의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연방은행 총재,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연방은행 총재 등은 3번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을 쏟아냈다.

박성우 NH선물 연구원은 "Fed가 금리를 1번만 올려도 국내와의 격차가 0.25%포인트로 좁혀진다"며 "우리나라와 미국의 채권금리가 역전되면서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박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 금통위가 금리를 내리기엔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며 "정책 여력을 아껴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계부채 규모도 부담 요인이다. 지난해 말 국내 가계부채 규모는 1300조원을 돌파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말 가계부채 규모가 약 150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김진평 삼성선물 연구원은 "가계부채 문제는 정부의 관리방안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금융 안정을 중요시하는 한은의 입장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금통위가 올해 내내 기준금리를 동결 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도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을 지켜봐야 한다"며 연내 동결을 점쳤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