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크는 한국 e스포츠산업…세계시장 점유율 1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디어·구단 운영 예산·대회 등
지난해 총매출 723억원 급성장
지난해 총매출 723억원 급성장
e스포츠단 SK텔레콤 T1(한국팀)이 지난해 10월3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센터에서 열린 인기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삼성 갤럭시팀을 3-2로 누르고 우승했다. 우승 상금은 203만달러(약 23억원). 이 경기는 국내 케이블채널 온게임넷을 비롯해 네이버, 다음 등에서 생중계해 국내 e스포츠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한국 e스포츠 산업이 급성장하며 세계 시장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스트리밍·포털·온오프라인 매체 등 미디어 부문 매출 459억5000만원을 비롯해 구단 운영 예산 부문 매출 221억원, 대회 부문 매출 42억4500만원 등 총 723억원 규모다. 세계 e스포츠 시장은 72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18일 ‘2016년 e스포츠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e스포츠란 컴퓨터 및 네트워크, 기타 영상 장비 등을 이용해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로 지적·신체적 능력이 필요한 경기다. 대회 또는 리그와 같은 현장 참여, 전파를 통해 전달하는 방송 중계, 관련 커뮤니티 활동 등 사이버 문화 전반 등을 포함한다.
이 보고서는 2014년과 2015년에 열린 e스포츠 대회 및 대회별 총상금 규모를 전수 조사해 재추정하는 작업을 거쳐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는 2014년 대비 약 20%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2014년에 비해 미디어 부문 매출은 9.1%, 구단 운영 예산 부문 매출은 50.6%, 대회 부문 매출은 6.2% 증가했다.
e스포츠 산업 규모와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산출한 e스포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41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54억원으로 나타났다.
e스포츠 시청자가 최근 1년간 가장 많이 시청한 종목(복수응답)은 ‘리그오브레전드’(56.8%) ‘스타크래프트2’(48.8%) ‘국산 서든어택’(25.8%) 순이었다. 시청자가 e스포츠를 시청할 때 주로 사용한 매체는 케이블 TV(41.4%)가 가장 많았고, 컴퓨터 및 노트북(39.6%), 모바일 및 태블릿(19.0%) 등이 뒤를 이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
한국 e스포츠 산업이 급성장하며 세계 시장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스트리밍·포털·온오프라인 매체 등 미디어 부문 매출 459억5000만원을 비롯해 구단 운영 예산 부문 매출 221억원, 대회 부문 매출 42억4500만원 등 총 723억원 규모다. 세계 e스포츠 시장은 72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18일 ‘2016년 e스포츠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e스포츠란 컴퓨터 및 네트워크, 기타 영상 장비 등을 이용해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로 지적·신체적 능력이 필요한 경기다. 대회 또는 리그와 같은 현장 참여, 전파를 통해 전달하는 방송 중계, 관련 커뮤니티 활동 등 사이버 문화 전반 등을 포함한다.
이 보고서는 2014년과 2015년에 열린 e스포츠 대회 및 대회별 총상금 규모를 전수 조사해 재추정하는 작업을 거쳐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는 2014년 대비 약 20%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2014년에 비해 미디어 부문 매출은 9.1%, 구단 운영 예산 부문 매출은 50.6%, 대회 부문 매출은 6.2% 증가했다.
e스포츠 산업 규모와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산출한 e스포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41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54억원으로 나타났다.
e스포츠 시청자가 최근 1년간 가장 많이 시청한 종목(복수응답)은 ‘리그오브레전드’(56.8%) ‘스타크래프트2’(48.8%) ‘국산 서든어택’(25.8%) 순이었다. 시청자가 e스포츠를 시청할 때 주로 사용한 매체는 케이블 TV(41.4%)가 가장 많았고, 컴퓨터 및 노트북(39.6%), 모바일 및 태블릿(19.0%) 등이 뒤를 이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