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미국 상무장관 만나 대미 흑자 설명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 리스크 대응 나선 산업부
미국 상무장관 인준 끝나면 직접 방문해 FTA 논의
"올해 관세철폐 품목 늘어…무역역조 개선될 것" 설명
차관보는 이번 주 파견
미국 상무장관 인준 끝나면 직접 방문해 FTA 논의
"올해 관세철폐 품목 늘어…무역역조 개선될 것" 설명
차관보는 이번 주 파견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예상되는 미국의 통상압력에 대비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인호 통상차관보를 이번주 미국에 보내 실무자급 회의를 개최하고, 주형환 장관도 윌버 로스 미 상무부 장관 내정자의 의회 인준이 끝나면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다. 그동안 정부는 트럼프 측과 연결고리가 없어 트럼프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판 발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주 장관은 한·미 FTA 이후 늘어난 대미 무역흑자 원인이 한국의 경기가 좋지 않아 수입이 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설명할 예정이다.
◆“무역흑자 원인 설명하겠다”
주 장관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통상정책 방향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이 차관보가 이번주 미국에 가서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나도 미 상무부 장관이 인준되면 적절한 시점에 방문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7~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과 세계무역기구(WTO)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주 장관은 “많은 국가가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데 큰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 측 관계자들과 얘기해보니 트럼프 대통령은 ‘공정무역’, 로스 장관 내정자는 ‘상식 있는 교역’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며 “이런 점을 감안해 적극적으로 미국 측 동향을 모니터링하겠다”고 했다.
주 장관은 한·미 FTA 이후 연간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달러 이상으로 증가한 것에 대해 “거시적인 측면이 크다.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좋아지는데 우리는 회복세가 덜해 수입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FTA 발효 5년이 되는 올해 관세가 완전히 없어지는 품목이 많으니 상대적으로 미국 제품 수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상무관 회의에 참석한 김창규 주미 워싱턴대사관 산업통상자원관(국장)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교민이나 미국 기업은 경기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내각 주요인사들이 사업가 출신이라 이해타산에 밝다”며 “한·미 FTA 발효 이후 공교롭게도 한국의 무역흑자가 늘어난 것을 문제 삼을 소지는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로버트 라이시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내정자의 의회 청문회 때 의원들이 각국과 맺은 FTA의 문제점에 대해 물어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중국도 예의주시
중국도 트럼프 미 대통령의 통상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호준 주중 베이징대사관 산업통상자원관(국장)은 “중국 정부 입장에서 봤을 때 트럼프 행정부에 중국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사들이 임명된 게 사실”이라며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트럼프의 취임 연설을 신경써서 지켜봤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그는 “과거 미국 대통령들이 취임 전 중국에 대해 강경하게 얘기하다 취임 후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관계가 나쁘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하고 있다”며 “물론 미국이 중국에 뼈아픈 조치를 취하면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고 지금은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 국장은 “최근 미국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에서 생산한 세탁기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며 “중국 현지에 나가 있는 한국 기업들도 미·중 관계가 악화될까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이태훈/오형주 기자 beje@hankyung.com
주 장관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통상정책 방향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이 차관보가 이번주 미국에 가서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나도 미 상무부 장관이 인준되면 적절한 시점에 방문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7~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과 세계무역기구(WTO)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주 장관은 “많은 국가가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데 큰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 측 관계자들과 얘기해보니 트럼프 대통령은 ‘공정무역’, 로스 장관 내정자는 ‘상식 있는 교역’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며 “이런 점을 감안해 적극적으로 미국 측 동향을 모니터링하겠다”고 했다.
주 장관은 한·미 FTA 이후 연간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달러 이상으로 증가한 것에 대해 “거시적인 측면이 크다.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좋아지는데 우리는 회복세가 덜해 수입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FTA 발효 5년이 되는 올해 관세가 완전히 없어지는 품목이 많으니 상대적으로 미국 제품 수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상무관 회의에 참석한 김창규 주미 워싱턴대사관 산업통상자원관(국장)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교민이나 미국 기업은 경기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내각 주요인사들이 사업가 출신이라 이해타산에 밝다”며 “한·미 FTA 발효 이후 공교롭게도 한국의 무역흑자가 늘어난 것을 문제 삼을 소지는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로버트 라이시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내정자의 의회 청문회 때 의원들이 각국과 맺은 FTA의 문제점에 대해 물어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중국도 예의주시
중국도 트럼프 미 대통령의 통상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호준 주중 베이징대사관 산업통상자원관(국장)은 “중국 정부 입장에서 봤을 때 트럼프 행정부에 중국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사들이 임명된 게 사실”이라며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트럼프의 취임 연설을 신경써서 지켜봤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그는 “과거 미국 대통령들이 취임 전 중국에 대해 강경하게 얘기하다 취임 후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관계가 나쁘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하고 있다”며 “물론 미국이 중국에 뼈아픈 조치를 취하면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고 지금은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 국장은 “최근 미국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에서 생산한 세탁기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며 “중국 현지에 나가 있는 한국 기업들도 미·중 관계가 악화될까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이태훈/오형주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