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전동차' 교체비용 싸움에 시민 안전 '뒷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市·메트로 "국비 지원해 달라"
정부 "서울시가 알아서 할 일"
市·메트로 "국비 지원해 달라"
정부 "서울시가 알아서 할 일"
!['노후 전동차' 교체비용 싸움에 시민 안전 '뒷전'](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213912.1.jpg)
여론이 악화된 것은 지난 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옛 신천역)으로 들어오던 전동차에서 불이 났을 때 차장이 승객들에게 “객차에서 기다리라”고 방송했기 때문이다. 김 사장은 “차내 대기 방송은 매뉴얼에 따른 정상적 조치였다”며 “해외 지하철에서도 기관사가 고장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때까지는 전동차 내에서 대기하라고 안내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매뉴얼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하겠다”고 했다.
!['노후 전동차' 교체비용 싸움에 시민 안전 '뒷전'](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213910.1.jpg)
상황이 이렇다면 사고 대응 매뉴얼이 문제가 아니다. 낡은 전동차는 언제 불길에 휩싸일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8370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2·3호선 노후 전동차 620량을 교체할 계획이다. 2호선 열차의 17.4%, 3호선 열차의 12%가 ‘내구연한’을 넘긴 상태다.
하지만 시와 메트로는 노후 차량 비율이 40%인 1호선과 470량 전체가 20년이 넘은 4호선 전동차 교체는 손도 못 대고 있다. 예산 때문이다. 시와 메트로는 2·3호선 노후 전동차 교체를 위해 2014년부터 줄곧 국비 지원을 요청해왔지만 3년 연속 중앙정부에서 거절당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다른 정부부처들이 ‘시설 유지보수와 개량은 자산 소유권자인 시가 하는 게 원칙’이라고 반대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시에 지원했다가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일제히 지원을 요청해오면 감당할 수 없게 된다는 항변이다.
서울시는 “국비 지원을 못 받으면 시와 메트로가 어떻게든 예산을 쥐어짜 전동차를 교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른 사업 분야의 예산을 깎는 게 순탄치 않아 노후 전동차 교체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시와 중앙정부의 ‘줄다리기’에 국민 안전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
마지혜 지식사회부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