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창업 제2의 전성기] "바이오 금맥 캐자"…다국적사·1세대 벤처 출신 잇따라 '창업 도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용펀드 등 정부 지원 늘고 벤처캐피털도 투자 확대
창업교실 열리면 문의 쇄도…대기업 출신 모여 창업도
연구개발과 회사 경영 분리…위험 줄일 수 있는 장치 시급
창업교실 열리면 문의 쇄도…대기업 출신 모여 창업도
연구개발과 회사 경영 분리…위험 줄일 수 있는 장치 시급
이승주 오름테라퓨틱스 대표는 지난해 8월 대전에서 바이오 벤처기업을 창업했다. 이 대표는 창업 직전까지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아벤티스 아시아태평양R&D 책임연구원(이사)으로 근무했다. 김용성 아주대 교수와 공동으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창업한 그는 자체 원천기술을 적용한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 대표는 “새로운 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계획을 오래전부터 갖고 있었다”며 “최근 정부와 민간에서 자금, 인프라 등 지원이 늘어나고 바이오산업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초기 투자 3배 가까이 늘어
얼어붙었던 바이오 창업이 꿈틀대는 가장 큰 이유는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바이오 스타트업은 실패 확률이 높아 초기 자금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최근 1~2년 사이 분위기가 달라졌다. 벤처캐피털(VC)의 바이오 투자 금액은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3년 미만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3배 가까이 확대됐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스타트업에 투자된 금액은 136억원에서 385억원으로 183% 급증했다. 전체 투자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3%에서 12.3%로 늘어났다. 여기에 정부 정책도 한몫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등은 초기기업 전용펀드 신설, 연구개발(R&D) 지원 등 지원책을 내놨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해부터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열어온 바이오창업스쿨에도 사람이 몰리고 있다. 두 차례 열린 행사에 100여명이 참석했다. 반재복 한국바이오협회 창업유닛장은 “올해 4월께 바이오창업스쿨을 추가로 개설할 계획”이라며 “초기 바이오기업도 투자받을 길이 많아지면서 직장인 등의 창업 문의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창업 형태도 나타나
2000년 전후 설립된 1세대 바이오 벤처기업은 주로 생명공학 분야 대학교수들이 주도했다. 마크로젠(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 제넥신(성영철 포스텍 교수), 메디톡스(정현호 선문대 교수) 등은 학내 벤처로 시작해 코스닥에 상장한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해부터는 바이오 스타트업의 창업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정보기술(IT) 분야에서 활발한 스핀오프(분할) 창업 바람이 바이오 분야로 옮겨붙었다. 지난해 11월 설립된 3빌리언이 대표적이다. 온라인으로 희귀질환 유전자 분석을 해주는 이 회사는 유전자 진단 전문기업인 마크로젠에서 스핀오프됐다.
금창원 3빌리언 대표는 “희귀질환 진단의 시장 가능성을 높이 보고 창업을 결심했다”며 “벤처캐피털 등에서 추가 투자를 권유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늘어나면서 개발만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벤처기업도 설립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 란드바이오사이언스 등은 외부에서 잠재력이 높은 후보 물질을 사들여 개발한 뒤 기술을 수출하는 전략을 펴는 벤처기업이다.
실패 부담 줄이는 장치 마련돼야
바이오 창업의 불씨를 꾸준히 이어가기 위해서는 실패 위험을 사회적으로 분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처럼 창업자가 R&D에 전념하고 벤처캐피털이 경영과 사업화를 맡을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국내에서는 벤처캐피털이 1대 주주인 바이오 벤처기업은 기업공개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창업자 개인이 경영과 R&D를 모두 책임져야 한다. 유승준 한국바이오경제센터 센터장은 “대형 제약사 간 인수합병(M&A)이 활성화되는 등 지속 가능한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미현/김근희 기자 mwise@hankyung.com
이 대표는 “새로운 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계획을 오래전부터 갖고 있었다”며 “최근 정부와 민간에서 자금, 인프라 등 지원이 늘어나고 바이오산업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초기 투자 3배 가까이 늘어
얼어붙었던 바이오 창업이 꿈틀대는 가장 큰 이유는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바이오 스타트업은 실패 확률이 높아 초기 자금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최근 1~2년 사이 분위기가 달라졌다. 벤처캐피털(VC)의 바이오 투자 금액은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3년 미만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3배 가까이 확대됐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스타트업에 투자된 금액은 136억원에서 385억원으로 183% 급증했다. 전체 투자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3%에서 12.3%로 늘어났다. 여기에 정부 정책도 한몫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등은 초기기업 전용펀드 신설, 연구개발(R&D) 지원 등 지원책을 내놨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해부터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열어온 바이오창업스쿨에도 사람이 몰리고 있다. 두 차례 열린 행사에 100여명이 참석했다. 반재복 한국바이오협회 창업유닛장은 “올해 4월께 바이오창업스쿨을 추가로 개설할 계획”이라며 “초기 바이오기업도 투자받을 길이 많아지면서 직장인 등의 창업 문의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창업 형태도 나타나
2000년 전후 설립된 1세대 바이오 벤처기업은 주로 생명공학 분야 대학교수들이 주도했다. 마크로젠(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 제넥신(성영철 포스텍 교수), 메디톡스(정현호 선문대 교수) 등은 학내 벤처로 시작해 코스닥에 상장한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해부터는 바이오 스타트업의 창업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정보기술(IT) 분야에서 활발한 스핀오프(분할) 창업 바람이 바이오 분야로 옮겨붙었다. 지난해 11월 설립된 3빌리언이 대표적이다. 온라인으로 희귀질환 유전자 분석을 해주는 이 회사는 유전자 진단 전문기업인 마크로젠에서 스핀오프됐다.
금창원 3빌리언 대표는 “희귀질환 진단의 시장 가능성을 높이 보고 창업을 결심했다”며 “벤처캐피털 등에서 추가 투자를 권유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늘어나면서 개발만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벤처기업도 설립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 란드바이오사이언스 등은 외부에서 잠재력이 높은 후보 물질을 사들여 개발한 뒤 기술을 수출하는 전략을 펴는 벤처기업이다.
실패 부담 줄이는 장치 마련돼야
바이오 창업의 불씨를 꾸준히 이어가기 위해서는 실패 위험을 사회적으로 분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처럼 창업자가 R&D에 전념하고 벤처캐피털이 경영과 사업화를 맡을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국내에서는 벤처캐피털이 1대 주주인 바이오 벤처기업은 기업공개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창업자 개인이 경영과 R&D를 모두 책임져야 한다. 유승준 한국바이오경제센터 센터장은 “대형 제약사 간 인수합병(M&A)이 활성화되는 등 지속 가능한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미현/김근희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