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맹비난하고 있지만 속사정이 다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미국 우선주의를 외치며 제시한 공약 중에도 이행을 위해 중국의 협조가 절실한 부분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29일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내 일자리, 북한 핵위협, 테러리즘 척결, 이란 핵합의, 중국 시장진입 등을 그런 분야로 지목했다.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재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중 하나는 앞으로 10년 동안 일자리 2천5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세부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외국인 투자가 한 방안으로 미리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 재계의 대표적 인물로 꼽히는 마윈 알리바바 회장에게 찬사를 보냈다.

마윈 회장이 미국 내 중소기업들을 위해 새 일자리 100만개를 만들겠다고 시사한 데 대한 반응이었다.

폴 헤인리 카네기·칭화국제정책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고용 공약을 지키려면 중국과의 협력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핵탄두를 만들고 이를 미국 본토까지 실어나를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는 북한을 길들이는 데도 중국이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의 핵 야욕을 꺾는 데 더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촉구한 바 있다.

북한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이 다른 어떤 나라보다 북한 김정은 정권에 입김을 더 많이 넣을 수 있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북핵보다 북한 김정은 정권의 붕괴를 더 걱정하는 낌새를 노출해온 중국으로부터 가시적 협조를 끌어내는 것도 트럼프 행정부의 숙제로 자리잡았다.

극단주의 테러를 막는 데도 중국 협조가 필요하다는 시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취임 연설에서 지구에서 급진주의 이슬람 테러리즘을 뿌리뽑겠다고 약속했다.

중국이 분리주의 운동 때문에 감시를 강화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는 극단주의 지하디스트들이 준동하고 있다.

게다가 중국은 파키스탄, 이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잠재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중 대테러 협조의 걸림돌로 작용한 인권침해 논란이 고문 용인과 같은 의제는 트럼프 행정부 때에는 덜 돌출될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주장해온 이란 핵 합의 재협상 또는 폐기를 관철하기 위해서도 중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는 대가로 서방의 제재를 해제한 이 합의를 두고 그는 역사상 최악의 거래라고 비난해왔다.

중국은 핵 합의를 이룬 주요 6개국 중 하나이자 이란의 최대 교역국으로서 이란을 다시 테이블로 끌어내려고 한다면 꼭 협조를 구해야 할 상대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론하며 중국을 자극한 것이 중국 시장에 접근하기 위한 협상 카드를 만든 것이었다고 해석했다.

구체적 요구는 뒤따르지 않았으나 윌버 로스 상무장관 내정자의 말에 단서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스 장관은 중국이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고 미국 기업이 13억 소비자를 보유한 중국 시장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 세계무역기구연구회의 허웨이원 상무이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건드리지 않으면 어떤 거래도 할 수 있겠지만 건드린다면 아무 거래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