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이나 소득 등에 관계 없이 국가가 일괄적으로 지급하는 ‘기본소득제’가 대표적이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국토보유세를 신설해 마련한 재원 15조원을 전 국민에게 연간 30만원씩 주겠다고 약속했다. 또 소득이나 재산에 관계 없이 청년과 노인, 장애인 등 2800만명에게 매년 100만원씩 지급하는 공약도 내놨다. 그는 재벌 해체도 주장하고 있다. 이 시장은 “극단적인 조치를 통해 재벌기업을 재벌 가문으로부터 분리시켜 지배권을 박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국 범죄집단을 단죄하기 위해 도입한 ‘리코법’을 국내 기업에 적용하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군 복무기간을 18개월까지 단축하는 방안을 내놨고, 이 시장은 10개월까지 줄이겠다고 했다. 이들은 대안으로 직업군인 확대, 전문성 있는 병사를 모집하는 선택적 모병제 도입, 군 무기 첨단화 등을 제시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2023년부터 모병제 도입을 주장했다. 국방부는 군 전력 유지가 어렵고, 막대한 재정 부담으로 무기 첨단화 계획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반박했다.
남 지사는 헌법재판소가 위헌 판정을 내린 사교육 폐지 정책을 다시 들고 나왔다. 그는 사교육 폐지를 국민투표에 부치자고 주장하지만 역대 대선 주자들의 선행학습 금지 등 교육 공약들이 무위로 돌아간 점을 고려하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내놓은 ‘육아휴직 3년 보장’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남 지사와 안희정 충남지사는 위헌 판정을 받은 수도 이전 문제를 다시 꺼냈다. 선거를 앞두고 지역주의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