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 발표…무슨 내용 담길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기술표준원, 2월초 발화원인 발표 예정
국표원 "발화원인 조사…스마트폰 배터리 안전개선 과정"
국표원 "발화원인 조사…스마트폰 배터리 안전개선 과정"
[ 이진욱 기자 ] 정부의 갤럭시노트7(갤노트7) 발화원인 발표가 임박하면서 삼성전자가 밝혔던 원인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 별도로 수립되는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기준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산하기관인 산업기술시험원(KTL)은 다음달 초 갤노트7의 발화원인 조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약 세 달 동안 국내에서 발화된 갤노트7을 대상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 비파괴·파괴 검사 등의 실험을 진행했다. 현재 학계 및 연구단체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자문단 13명이 조사결과 초안을 검토 중이며 마무리 단계다. 지난 20일 최종 보고서를 국가기술표준원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국표원 정민화 전기통신제품안전과장은 "국표원은 여러 전문가들과 협의가 끝나는대로 갤노트7 발화원인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엔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의 발표와 삼성전자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외부업체인 미국의 안전인증 회사 UL 등과 함께 배터리 결함으로 결론을 내린 만큼 조사 결과가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발표는 원인 규명보다 재발 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성에 중점을 둘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발표 당시 제품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겠단 계획을 밝힌만큼, 정부가 여기에 힘을 실어주지 않겠냐는 의견이 적지 않다.
실제 국표원은 조사 결과와 동시에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기준을 내놓을 계획이다. 갤노트7 발화 사태 이후 세계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이 강조되면서 정부 차원의 안전 제고 대책이 담긴다. 이를 통해 국가 주요 수출 품목인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회복한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현재 국내엔 스마트기기를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기준만 있을 뿐이다. 스마트폰에 대한 기준은 따로 없다. 스마트폰용 배터리 안전기준이 마련된다면 신뢰도 개선과 함께 소비 진작 효과도 기대된다. 제조업체들이 국가 기준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면서 소비자들을 안심시키는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회사원 김태광(39)씨는 "국가가 정한 기준대로 제품이 나온다면 검증이 됐다는 말 아닌가"라며 "소비자들이 좀 더 믿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새로운 배터리 안전기준은 2월초 발표 후 약 6개월의 계도기간을 거쳐 올 하반기께 출시되는 스마트폰부터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23일 삼성전자는 갤노트7의 발화 원인을 기기 자체 결함이 아닌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결론내면서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 도입, 배터리 안전설계 기준강화 등의 절차로 제품 안전성을 개선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표원 정민화 전기통신제품안전과장은 "정부의 갤노트7 발화원인 조사는 스마트폰 배터리에 대한 안전 개선 대책을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며 "국표원이 안전기준 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후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산하기관인 산업기술시험원(KTL)은 다음달 초 갤노트7의 발화원인 조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약 세 달 동안 국내에서 발화된 갤노트7을 대상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 비파괴·파괴 검사 등의 실험을 진행했다. 현재 학계 및 연구단체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자문단 13명이 조사결과 초안을 검토 중이며 마무리 단계다. 지난 20일 최종 보고서를 국가기술표준원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국표원 정민화 전기통신제품안전과장은 "국표원은 여러 전문가들과 협의가 끝나는대로 갤노트7 발화원인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엔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의 발표와 삼성전자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외부업체인 미국의 안전인증 회사 UL 등과 함께 배터리 결함으로 결론을 내린 만큼 조사 결과가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발표는 원인 규명보다 재발 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성에 중점을 둘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발표 당시 제품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겠단 계획을 밝힌만큼, 정부가 여기에 힘을 실어주지 않겠냐는 의견이 적지 않다.
실제 국표원은 조사 결과와 동시에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기준을 내놓을 계획이다. 갤노트7 발화 사태 이후 세계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이 강조되면서 정부 차원의 안전 제고 대책이 담긴다. 이를 통해 국가 주요 수출 품목인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회복한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현재 국내엔 스마트기기를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기준만 있을 뿐이다. 스마트폰에 대한 기준은 따로 없다. 스마트폰용 배터리 안전기준이 마련된다면 신뢰도 개선과 함께 소비 진작 효과도 기대된다. 제조업체들이 국가 기준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면서 소비자들을 안심시키는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회사원 김태광(39)씨는 "국가가 정한 기준대로 제품이 나온다면 검증이 됐다는 말 아닌가"라며 "소비자들이 좀 더 믿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새로운 배터리 안전기준은 2월초 발표 후 약 6개월의 계도기간을 거쳐 올 하반기께 출시되는 스마트폰부터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23일 삼성전자는 갤노트7의 발화 원인을 기기 자체 결함이 아닌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결론내면서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 도입, 배터리 안전설계 기준강화 등의 절차로 제품 안전성을 개선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표원 정민화 전기통신제품안전과장은 "정부의 갤노트7 발화원인 조사는 스마트폰 배터리에 대한 안전 개선 대책을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며 "국표원이 안전기준 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후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