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작년 영업익 1조4400억…"5년 내 최고수준"(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1년 이후 최초 연간 서비스매출 20조원
무선가입자 1890만 확보
무선가입자 1890만 확보
KT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4400억원을 기록해 2011년 이후 최대치를 나타냈다.
KT는 연결 기준으로 작년 매출액이 22조7437억원, 영업이익이 1조44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1%, 11.4%씩 늘었다고 1일 공시했다.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래 서비스매출이 20조원을 넘어선건 이번이 처음이며, 순이익 또한 최대치를 보였다. 순이익은 7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늘었다.
매출은 무선, 인터넷, IPTV 등 주력 사업에서 우량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확대와 함께 비용 절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7조4183억원을 올렸다. 무선서비스 매출의 경우 LTE 보급률이 75.5%(2016년 4분기 기준)까지 확대된데다 Y24, Y틴과 같은 특화 요금제가 인기를 끌면서 전년 대비 2.1% 증가한 6조6584억원을 보였다. 전체 무선 가입자는 전년대비 85만명 늘어난 1890만명을 확보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유선전화 이용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1.8% 줄어든 5조649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기가(GiGA) 인터넷’이 포함된 인터넷사업의 매출은 2015년 2분기 이후 1년6개월(6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5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했고 전년 대비 11.4% 성장했다.
미디어·콘텐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1조9252억원을 기록했다. IPTV(인터넷TV)인 올레TV의 뛰어난 사용환경(UI) 및 사용경험(UX)과 함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적절히 제공한 게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우량 가입자 확대, 유료시청(PPV) 수익 증가와 함께 광고, 홈쇼핑 송출수수료 등 플랫폼 수익 증대도 매출에 기여했다. 전체 가입자 700만명을 넘었다. 이로 인해 매출액은 1조원을 넘겼고 전년 대비 23.9% 성장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소액결제 활성화 등 카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BC카드 매출이 늘어 전년 대비 0.5% 성장한 3조4278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 및 기타 자회사의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13.6% 증가한 2조1709억원을 올렸다.
KT CFO 신광석 전무는 “KT는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 클럽을 기록하는 등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을 한층 다질 수 있었다”며 “올해는 새로운 시각으로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에 도전해 질적 성장을 고도화하는 한편 비용 혁신을 체계화하겠다"고 말했다.
KT는 올해 에너지 및 보안 사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인증, 결제, IoT 등 핵심 플랫폼의 사업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기가 와이어 등 차별화된 솔루션의 해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글로벌 ICT 사업개발 등을 통해 신사업에서 연간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KT는 올해 BC카드, 스카이라이프 등 주요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KT에스테이트 등 부동산 관련 매출과 같은 신규 실적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지난해보다 17% 이상 상승한 연간 약 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예상하고 있다.
올해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영업을 개시하는 ‘케이뱅크(K bank)’는 금융과 핀테크를 접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할 예정이다. 그룹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게 회사측의 기대다.
최근 KT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 TV ‘기가 지니’는 미디어 분야의 매출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혁신적 기가 인프라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CT 융합기술이 결합한 기가 지니는 홈 비서, 홈 IoT 허브와 더불어 똑똑한 멀티미디어 제어로 IPTV를 이용하는 패턴마저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KT는 연결 기준으로 작년 매출액이 22조7437억원, 영업이익이 1조44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1%, 11.4%씩 늘었다고 1일 공시했다.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래 서비스매출이 20조원을 넘어선건 이번이 처음이며, 순이익 또한 최대치를 보였다. 순이익은 7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늘었다.
매출은 무선, 인터넷, IPTV 등 주력 사업에서 우량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확대와 함께 비용 절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7조4183억원을 올렸다. 무선서비스 매출의 경우 LTE 보급률이 75.5%(2016년 4분기 기준)까지 확대된데다 Y24, Y틴과 같은 특화 요금제가 인기를 끌면서 전년 대비 2.1% 증가한 6조6584억원을 보였다. 전체 무선 가입자는 전년대비 85만명 늘어난 1890만명을 확보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유선전화 이용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1.8% 줄어든 5조649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기가(GiGA) 인터넷’이 포함된 인터넷사업의 매출은 2015년 2분기 이후 1년6개월(6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5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했고 전년 대비 11.4% 성장했다.
미디어·콘텐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1조9252억원을 기록했다. IPTV(인터넷TV)인 올레TV의 뛰어난 사용환경(UI) 및 사용경험(UX)과 함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적절히 제공한 게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우량 가입자 확대, 유료시청(PPV) 수익 증가와 함께 광고, 홈쇼핑 송출수수료 등 플랫폼 수익 증대도 매출에 기여했다. 전체 가입자 700만명을 넘었다. 이로 인해 매출액은 1조원을 넘겼고 전년 대비 23.9% 성장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소액결제 활성화 등 카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BC카드 매출이 늘어 전년 대비 0.5% 성장한 3조4278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 및 기타 자회사의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13.6% 증가한 2조1709억원을 올렸다.
KT CFO 신광석 전무는 “KT는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 클럽을 기록하는 등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을 한층 다질 수 있었다”며 “올해는 새로운 시각으로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에 도전해 질적 성장을 고도화하는 한편 비용 혁신을 체계화하겠다"고 말했다.
KT는 올해 에너지 및 보안 사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인증, 결제, IoT 등 핵심 플랫폼의 사업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기가 와이어 등 차별화된 솔루션의 해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글로벌 ICT 사업개발 등을 통해 신사업에서 연간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KT는 올해 BC카드, 스카이라이프 등 주요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KT에스테이트 등 부동산 관련 매출과 같은 신규 실적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지난해보다 17% 이상 상승한 연간 약 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예상하고 있다.
올해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영업을 개시하는 ‘케이뱅크(K bank)’는 금융과 핀테크를 접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할 예정이다. 그룹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게 회사측의 기대다.
최근 KT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 TV ‘기가 지니’는 미디어 분야의 매출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혁신적 기가 인프라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CT 융합기술이 결합한 기가 지니는 홈 비서, 홈 IoT 허브와 더불어 똑똑한 멀티미디어 제어로 IPTV를 이용하는 패턴마저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