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에 '트럼프 폭탄'…송유관 미국 수출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산 철강재만 사용" 행정명령…현대제철·세아제강 큰 타격
현대제철 등 연 2900억 수출
철강재 공급 포스코에도 불똥
유정용 강관으로 확대 가능성
현대제철 등 연 2900억 수출
철강재 공급 포스코에도 불똥
유정용 강관으로 확대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송유관 건설에 미국산(産) 철강재만 쓰라는 행정명령을 내려 국내 철강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통상마찰까지 각오한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현대제철과 세아제강 등 국내 철강업체는 송유관, 유정용 강관 등의 미국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연 40만~50만t 한국 송유관 ‘비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미국 내 모든 송유관 건설에 들어가는 철강재를 미국산으로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와 미국을 잇는 키스톤XL 송유관과 다코타 송유관 건설을 추진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는 두 프로젝트의 행정명령과는 별도로 앞으로 건설되는 모든 송유관에 자국 철강재만 쓰도록 했다. 미 상무부는 이 행정명령에 따라 180일 안에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법과 제도로 만들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해야 한다.
미국에 송유관을 수출하는 국내 철강업계엔 비상이 걸렸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현대제철,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 동양철관 등 국내 철강업계는 작년 47만t, 약 2900억원어치의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했다. 매년 10만t가량의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해온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 송유관을 건설하는 데 쓰이는 열연강판 후판 등을 공급해온 포스코도 피해 영향권에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서 정의한 미국산 철강은 ‘모든 제조 과정이 미국에서 이뤄진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최근 미국 내 공장을 인수한 세아제강도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세아제강은 보호무역주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최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유정용 강관 생산공장과 후처리공장을 1억달러에 인수했다. 세아제강이 이 공장 제품을 미국산으로 인정받으려면 원료, 소재, 반제품을 모두 미국 현지에서 조달해야 한다.
자국산 철강 사용 규제는 송유관뿐 아니라 채굴 과정에서 쓰이는 유정용 강관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경우 예상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작년 90만t, 약 5900억원어치의 송유관과 유정용 강관을 미국에 수출했다.
◆업계 반발에 통상마찰 우려
이번 행정명령이 시행되기까지는 진통도 예상된다. 세아그룹 고위 관계자는 1일 “이번 행정명령 때문에 많은 미국 내 수요자가 비싼 가격의 미국산 철강재를 써야 해 경제적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다”며 “미국에서 반대하는 수요자가 많아 실행 과정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 내 철강업체의 로비력이 강하다 보니 이런 행정명령이 나와도 말 없는 다수의 수요층이 끌려가고 있다”면서도 “업계 반발로 미국 의회도 반대하면 시행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정명령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미 의회의 제동과 국제적인 통상마찰도 예상된다. 김지선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을 포함해 세계무역기구(WTO) 정부조달협정에 가입된 40여개 회원국은 미국의 정책으로 차별을 당해선 안 된다는 조항이 있다”며 “행정명령은 WTO를 위배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발(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비해 중동과 동남아시아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당장 미국 의존도가 커 피해가 불가피한 상태다. 국내 철강업계 수출 중 미국 비중은 13% 수준이다. 미국이 작년에 한국산 철강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것은 17건인데 앞으로 추가적인 규제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미국 내 모든 송유관 건설에 들어가는 철강재를 미국산으로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와 미국을 잇는 키스톤XL 송유관과 다코타 송유관 건설을 추진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는 두 프로젝트의 행정명령과는 별도로 앞으로 건설되는 모든 송유관에 자국 철강재만 쓰도록 했다. 미 상무부는 이 행정명령에 따라 180일 안에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법과 제도로 만들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해야 한다.
미국에 송유관을 수출하는 국내 철강업계엔 비상이 걸렸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현대제철,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 동양철관 등 국내 철강업계는 작년 47만t, 약 2900억원어치의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했다. 매년 10만t가량의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해온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 송유관을 건설하는 데 쓰이는 열연강판 후판 등을 공급해온 포스코도 피해 영향권에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서 정의한 미국산 철강은 ‘모든 제조 과정이 미국에서 이뤄진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최근 미국 내 공장을 인수한 세아제강도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세아제강은 보호무역주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최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유정용 강관 생산공장과 후처리공장을 1억달러에 인수했다. 세아제강이 이 공장 제품을 미국산으로 인정받으려면 원료, 소재, 반제품을 모두 미국 현지에서 조달해야 한다.
자국산 철강 사용 규제는 송유관뿐 아니라 채굴 과정에서 쓰이는 유정용 강관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경우 예상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작년 90만t, 약 5900억원어치의 송유관과 유정용 강관을 미국에 수출했다.
◆업계 반발에 통상마찰 우려
이번 행정명령이 시행되기까지는 진통도 예상된다. 세아그룹 고위 관계자는 1일 “이번 행정명령 때문에 많은 미국 내 수요자가 비싼 가격의 미국산 철강재를 써야 해 경제적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다”며 “미국에서 반대하는 수요자가 많아 실행 과정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 내 철강업체의 로비력이 강하다 보니 이런 행정명령이 나와도 말 없는 다수의 수요층이 끌려가고 있다”면서도 “업계 반발로 미국 의회도 반대하면 시행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정명령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미 의회의 제동과 국제적인 통상마찰도 예상된다. 김지선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을 포함해 세계무역기구(WTO) 정부조달협정에 가입된 40여개 회원국은 미국의 정책으로 차별을 당해선 안 된다는 조항이 있다”며 “행정명령은 WTO를 위배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발(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비해 중동과 동남아시아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당장 미국 의존도가 커 피해가 불가피한 상태다. 국내 철강업계 수출 중 미국 비중은 13% 수준이다. 미국이 작년에 한국산 철강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것은 17건인데 앞으로 추가적인 규제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