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경선은 참여정부 적통경쟁…과거회귀 우려"
"결선투표제 도입안하면 몇십년간 천추의 한 될 것"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대선후보를 전폭적으로 돕지 않았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 "그런 말을 하는 것은 짐승만도 못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안 전 대표는 13일 이날 광주 염주 체육관에서 열린 광주전남언론포럼 초청토론회에서 "(대선후보를) 양보했을 뿐만 아니라 도와줬는데 고맙다는 말은커녕 (도와주지 않아) 졌다고 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도리가 아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양보한 것 하나만으로도 사실은 고맙다고 해야 하는 게 인간으로 기본 도리 아니냐. 동물도 고마움을 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 전 대표는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대해 "참여정부 과(過)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핵심세력 간 적통경쟁으로 흘러가고 있다"면서 "정권을 달라고 나서는 모습이 과거로 회귀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민주당 경선이 친노(친노무현)가 뿌리인 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간의 대결구도로 흘러가는 점을 겨냥한 것이다.

안 전 대표는 "참여정부도 다른 모든 정부와 마찬가지로 공과 과가 있다. 적어도 과에 대해서는 반성과 성찰이 전제돼야 과거의 과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십년간 야권의 염원이던 대선 결선투표제를 이번 한 번 자신의 당선 여부에 맞춰, 이해득실과 이해타산에 맞춰 무시한다면 향후 몇십 년간 정말 천추의 한이 될 수 있다"면서 "더 이상 민주당에서 기득권 편에 서지 말고 대선 결선투표제를 받아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특히 안 전 대표는 "문 전 대표의 2012년 대선 공약이 결선투표제였고 2014년 당 대표에 출마할 때 공약이기도 했다"라며 "그런데 상황이 좋아졌다고 해서 이것을 무시하는 건 옳지 못하다. 야권이 지금 굉장히 유리해 보인다. 그런데 10년, 20년 계속 그러겠느냐"고 강조했다.

또한, 안 전 대표는 "결선투표제는 연대시나리오 대신에 모든 정당이 자기 정책을 설명하고 끝까지 완주할 제도적 기반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 전 대표는 "국가가 어려운 상황에서 콘텐츠가 있는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아야 하는 데, 콘텐츠 검증이 아니라 계속 연대시나리오를 물어보면 같이 망하자는 것이냐"라며 "언론에도 연대시나리오는 기사화하거나 관심 갖지 말았으면 한다. 단시간 그날 조회수 많은 기사를 만들어 뭐할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에서 3월 13일 이전에 탄핵안이 인용될 것으로 믿는다"며 "우선 박한철 전 헌재소장이 퇴임할 때 가급적이면 빠른 시간 내에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박 전 소장) 본인의 단순한 희망사항이 아니라 헌재 내 일하는 진행상황을 보고 다른 재판관들과 상의 끝에 공식적으로 말한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광주 연합뉴스) 이광빈 박수윤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