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총장들의 탄식 "대학의 미래 고민하는 대선주자 없어"
“대학의 미래를 걱정하는 대선주자가 아무도 없다.” 전·현직 대학 총장들의 이구동성이다. 주요 대선 후보들이 각종 교육 관련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대학이 직면한 위기에 대해선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권이 바뀐들 큰 차이가 없을 것”(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이라는 자조 섞인 말이 나올 정도다. 총장들은 “반값등록금의 폐해가 심각한데 정치인들이 표만 의식해 한마디도 꺼내질 않는다”고 아쉬워했다.

허무한 대선주자 교육공약

대학 총장들의 탄식 "대학의 미래 고민하는 대선주자 없어"
대선주자들의 교육 관련 공약은 대학보다는 주로 교육부 축소나 폐지, 국가의 보육책임 강화 등에 맞춰져 있다. 대학과 관련된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다.

총장들은 교육 관련 대선 공약에 대해 “본질에서 비켜나 있다”고 입을 모았다. 7년째 동결 중인 대학등록금 등 ‘뜨거운 감자’를 제대로 다루는 정치인이 없다는 것이다.

이영무 한양대 총장은 국내 대학의 열악한 재정 상황은 심각한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원까지 포함해 연간 등록금 수입 3100억원 가운데 2300억원이 인건비로 나가고, 나머지 800억원은 장학금으로 쓴다”며 “사정이 이런데 정부에서는 대학기금(적립금)을 깨라는 말까지 나오는 지경”이라고 우려했다.

이 총장은 장기간 등록금이 동결되면서 대학의 질(質)이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스라엘 테크니온대를 예로 들었다. 그는 “테크니온대에는 신소재 분야 교수가 7~8명 있는데 모두 노벨상 후보라고 할 만한 이들”이라며 “하지만 한국 대학은 교수들 월급까지 깎아 등록금을 낮추라고 하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 총장은 “중국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도 연봉 10억원을 주겠다며 한국 교수들을 영입하려 한다”며 “지식 교류에 국경이 있는 건 아니지만 이대로 가다간 두뇌 유출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갑영 전 총장은 “정부가 사립대 등록금에 관여해선 안 된다”며 “등록금을 계속 묶어두려면 기부에 대한 면세 등 기여입학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미국의 명문 사립대인 스탠퍼드대만 해도 전체 학생 중 약 75%는 성적 순으로 뽑고, 나머지 25%는 학교 재량에 맡긴다.

정 전 총장은 “스탠퍼드대는 25%를 선발할 때 상류층과 소외계층을 적절히 안배한다”며 “한국도 대학이 최소한 1~2%만이라도 자율적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숨통을 틔워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 준비는커녕…”

총장들은 대학 발전을 가로막는 또 다른 장애물로 지배구조 문제를 꼽았다. 유기풍 전 서강대 총장은 “총장의 임기가 너무 짧아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기 어렵다”며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총장으로 재직한 미 다트머스대는 총장을 뽑을 때 전 세계 1600여명의 인재풀을 대상으로 2~3년 분석한 뒤 결정하고 임명한 뒤엔 전권을 준다”고 말했다.

이영무 총장은 일본 오사카에 있는 긴키대의 사례를 들었다. 긴키대는 세계 최초로 참치 양식에 성공한 ‘대학 기업’이다. 이 총장은 “참치 양식이라는 단일 프로젝트에 30년을 투자해 얻은 결실”이라며 “이런 장기 과제를 중단 없이 할 수 있다는 점이 부럽다”고 말했다. 정 전 총장은 “스탠퍼드대는 직전 총장이 무려 16년 동안 총장직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되레 거꾸로 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화여대가 학생까지 참여하는 형태로 총장 직선제를 도입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대부분의 사립대는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정 전 총장은 “한국에선 학생,교수, 총장이 저마다 주인 행세를 하려 한다”며 “4차 산업혁명에 맞춰 학문 간 융합, 학과 통합이 중요함에도 아무도 결정할 수 없어 1960년대에 만든 학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