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하만 인수 성공…주가 모멘텀"-유안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안타증권은 20일 삼성전자가 글로벌 카인포테인먼트 시장 선두업체 하만 인수에 성공했다며 적극적인 비중 확대 전략을 권고했다. 목표주가는 230만원을 유지했다.
이재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하만의 2016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2억 달러, 6억1000만달러"라며 "이 중 커넥티드 카 사업부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2억달러, 3억6000만달러로 실적 비중이 가장 높고 수익성도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컨센서스 2017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예상치는 각각 75억달러와 7억50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5%, 22%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커넥티드 카 부문과 오디오 부문의 실적 성장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지불할 하만 인수대금은 총 80억불이고, 미국당국의 승인을 거쳐 3분기 중 인수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라며 "이에 따라 하만은 삼성전자 미국법인의 100% 자회사로 편입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전장사업 진출 본격화에 따른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더불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 등 사업부간 시너지도 예상된다"며 "스마트폰에 고사양 음향기능 탑재가 용이해지면서 IM사업부의 단말기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형석 한경닷컴 기자 chs8790@hankyung.com
이재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하만의 2016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2억 달러, 6억1000만달러"라며 "이 중 커넥티드 카 사업부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2억달러, 3억6000만달러로 실적 비중이 가장 높고 수익성도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컨센서스 2017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예상치는 각각 75억달러와 7억50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5%, 22%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커넥티드 카 부문과 오디오 부문의 실적 성장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지불할 하만 인수대금은 총 80억불이고, 미국당국의 승인을 거쳐 3분기 중 인수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라며 "이에 따라 하만은 삼성전자 미국법인의 100% 자회사로 편입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전장사업 진출 본격화에 따른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더불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 등 사업부간 시너지도 예상된다"며 "스마트폰에 고사양 음향기능 탑재가 용이해지면서 IM사업부의 단말기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형석 한경닷컴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