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검 수사결과 발표(사진=YTN 방송 박영수 특검 캡쳐
박영수 특검 수사결과 발표(사진=YTN 방송 박영수 특검 캡쳐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 씨와 차명 휴대전화로 핫라인을 유지했다는 내용을 담은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6일 특검 수사 결과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씨가 차명폰으로 통화한 횟수는 2016년 4월18일부터 10월26일 사이 국내외에서 총 573회로 집계됐다.

국정농단 의혹이 커지며 최순실 씨가 독일로 출국한 작년 9월 3일부터 검찰 조사를 받으러 귀국한 10월30일까지는 무려 127회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대통령, 최순실 씨, 안봉근·이재만·정호성 전 비서관 등 문고리 3인방 등만 사용하는 차명폰은 이영선 행정관이 2013년 10월부터 작년 10월까지 부천의 한 대리점에서 총 52대를 개설해 수개월에 한 번씩 나눠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이 최순실 씨와 박근례 대통령의 차명폰 존재를 찾아내는 데는 최순실 씨 조카 장시호 씨의 진술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장시호 씨는 지난 1월 특검 조사에서 "지난해 10월 26일 최순실 씨 요청으로 어머니 최순득이 윤전추 청와대 행정관의 차명폰으로 박 대통령과 최순실 씨 입국에 대해 협의한 적이 있다"고 진술했다.

특검은 최순득 씨 명의 휴대전화 분석을 통해 윤전추 행정관 차명폰 번호를 확인했다. 이후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박 대통령, 최씨, '문고리 3인방', 윤전추 행정관, 이영선 행정관만 연락을 주고받는 차명폰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최순실 씨가 차명폰으로 통화한 횟수가 가장 많은 상대는 박근혜 대통령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차명폰 발신 기지국은 모두 '청와대 관저'였다.

해외 순방 기간에는 출·입국 당일을 제외하면 국내 발신 내역이 전무했다.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도 해당 번호가 최순실 씨와 박근혜 대통령의 차명폰 번호가 맞는다고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