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채권 및 해외 부동산 펀드가 불어나면서 간접자산 운용 규모가 1700조원대를 돌파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앞으로 금리 상승 시 자산 가치 하락에 따른 대량 환매 가능성을 우려해 자산운용사의 유동성과 위험관리 실태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이 12일 발표한 ‘지난해 말 간접운용자산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펀드(469조원), 투자일임(543조원), 신탁(715조원) 등 간접자산운용 규모는 1728조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525조원)보다 203조원(13.3%) 늘어난 것으로 상장주식 시가총액(1508조원)을 웃도는 규모다. 이를 인구 수(2015년 말 기준)로 나누면 국민 1인당 평균 3385만원의 간접투자금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 중 펀드 수탁액은 47조6000억원(11.3%) 증가한 469조3000억원을 나타냈다. 주식형펀드(-9.5%, -7조7000억원)를 제외한 채권형펀드(22.0%,18조7000억원), 부동산펀드(30.8%, 10조8000억원), 특별자산펀드(20.5%, 8조3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11.7%, 10조9000억원) 등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저성장·저금리 기조로 마땅한 투자처가 없는 상황에서 단기 대기성 거처와 안전자산,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자금 유입이 집중됐다는 게 금감원 분석이다.

금감원은 향후 금리 상승이 간접운용자산에 미치는 영향과 글로벌 경기회복 등에 따른 자산배분 조정 과정에서 나타날 위험 요인에 대비해 운용사의 위험 관리 실태와 특정 자산의 자금 쏠림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금리가 상승해 채권 가치가 하락하면 관련 상품의 대량 환매나 해지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자산운용사의 유동성 보유 실태와 펀드 설정 및 환매 동향을 들여다볼 방침이다.

류국현 금감원 자산운용국장은 “향후 금리 상승 시 채권에서 주식, 신흥국에서 주요 선진국으로 자금 쏠림이 나타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간접운용자산의 위험 요인을 분기별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