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급증하고 있는 P2P(개인 간) 부동산담보 대출에 대해 투자 주의보를 발령했다. 연 10·20%대의 높은 수익률 때문에 투자가 몰리고 있지만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상품이라는 지적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5일 “전체 P2P 대출의 66%를 차지하는 P2P 부동산 담보대출이 신용대출 등 다른 상품보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며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니 꼼꼼히 따져보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2P 대출은 중개업체가 제공하는 대출 신청자의 신용등급과 담보 등의 정보를 참고해 금융회사가 아니라 투자자가 직접 돈을 빌려주는 새로운 금융이다. P2P 업체들이 내놓는 부동산 담보대출 상품은 크게 두 가지다. 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인 토지를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는 일종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인 건축자금 대출과 일반적인 부동산 담보대출이다.
P2P 업체들은 부동산 담보대출 상품에 대해 ‘투자금을 1년 안에 회수할 수 있고 수익률도 연 10~20%로 높다’ ‘담보를 확보해 안전하다’ 등으로 홍보하고 있다. P2P 부동산 담보대출 잔액은 작년 9월 1216억원에서 지난 1월 2214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크게 늘었다. 건축자금 대출은 같은 기간 832억원에서 1708억원으로 105% 급증했다.
금융당국은 그러나 부동산시장 상황 등에 따라 차입자가 돈을 갚지 못하면 투자원금을 잃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건축자금 대출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축 예정 토지를 담보로 설정하기 때문에 업체에서 제시한 건축물 준공 뒤 가치를 확정된 담보가치로 오인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건축물 준공 뒤 미분양이 발생하거나 준공가치가 예상보다 낮아질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또 일부 건축자금 대출상품 중에는 토지에 대한 담보권이 후순위이거나 담보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 수요 등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시행·시공업체의 안정성까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일부 P2P 업체가 차입자 모집을 위해 집값의 10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광고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은행 등 금융회사는 담보인정비율(LTV) 규제에 따라 집값의 70%까지밖에 돈을 빌려주지 못하지만, P2P 업체들은 LTV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어 가능하다. 그러나 투자자로선 집값의 100%까지 빌려준 경우 집값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곧바로 원금 회수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물론 P2P 업체들은 부실화 위험이 낮다고 주장한다. P2P 업체 관계자는 “사업성이 높거나 집값이 안정된 지역의 대출만 취급한다”고 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금리 인상 등에 따라 경기가 침체할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화시스템이 17~22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제전시컨벤션센터(ADNEC)에서 개최되는 ‘국제방산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한다. IDEX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국제방산전시회다. 한화시스템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방위산업 종합 역량’ 홍보에 나선다.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지구관측위성 개발 역량을 선보인다. 또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수출 주역인 다기능레이다와 대공방어시스템 등 ‘K방산’의 첨단 기술력을 선보인다.구체적으로 한화시스템은 중동 수출 주역인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천궁)의 다기능레이다 수출형 모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다기능 레이다 △동시다발로 쏟아지는 장사정포를 탐지·추적 할 수 있는 다표적 동시교전(Anti-MLRS) 다기능 레이다 △공격형 드론을 미리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시스과 △통합지휘통제체계(C2) 등 다계층 대공방어시스템을 전시한다.한화시스템은 대공방어기술력을 바탕으로 중동 및 유럽 등 글로벌 조기경보 레이다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조기경보 레이다는 2000~3000㎞ 이상 장거리의 탄도탄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레이다다. 한화시스템은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과 최신예 호위함 FFX 배치-III의 다기능 레이다, 한국형 전투기(KF-21)의 능동위상배열(AESA)레이다까지 육·해·공 다기능레이다 기술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조기 경보 레이다 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한화시스템의 첨단 레이다 기술 및 대공방어체계 역량은 중동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
현대자동차는 레이싱 게임 제작사와 협업해 게임을 통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를 개최하며 e스포츠의 저변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현대 N은 지난달 서울 잠실 숲 콜로세움 e스포츠 경기장에서 글로벌 레이싱 e스포츠 대회인 ‘2024 현대 N 버츄얼 컵’ 결승전을 열었다.현대 N 최초의 글로벌 온·오프라인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인 현대 N 버츄얼 컵은 현대 N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글로벌 인기 레이싱 게임인 아세토 코르사로 운영됐다. 3차원 스캔 기술로 현실의 서킷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구현해 게임 내에서 현실과 거의 같은 움직임을 구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간 한국과 중국 미국 유럽 등에서 2800여명이 참가해 온라인으로 예선 및 지역별 준결승이 진행됐다. 결승전에는 각 지역에서 준결승전을 통해 선발된 20명이 참가했다.최종 우승자인 폴란드 국적의 도미닉 블레어로는 “유럽팀이 마지막 두 레이스에서 2연승을 거두며 결승선을 통과해 기쁘고 다음 대회에서도 우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결승전 행사 현장에는 약 850명이 방문했고 현대 N 공식 유튜브 계정인 현대 N 월드와이드 채널에서 결승전 생중계를 진행했다. 현대 N은 경기장 현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즐길 수 있는 차량 시뮬레이터 존을 마련해 다양한 레이싱 게임 속에 등장하는 현대차의 차종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현대차의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e스포츠 토너먼트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 2024’ 월드 파이널에 등장해 뛰어난 주행 성능을 선보였다.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는
포스코가 올해 글로벌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이하 나혼렙)’과 협업해 판타스틸 광고 캠페인에 나선다.포스코는 지난달 15일 나혼렙과 함께 ‘판타지가 현실이 된다(FANTASTEEL COME TRUE)’를 주제로 제작한 판타스틸 광고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포스코는 2023년 판타스틸 광고 시즌1에서 게임 속 판타지 세계관에 포스코 철강제품을 녹여내는 참신한 접근을 시도해 미래세대에게 회사의 트렌디한 이미지를 확산해왔다.캠페인은 지난해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1기 종합준공 50주년을 맞아 일반인들에게 철의 가치와 친환경성을 알리려고 기획했다. 포스코가 보유한 기술력과 철강 품질을 게임 속 판타지와 연결한 스토리텔링으로 화제를 모았다.포스코는 올해엔 전세계 10~30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인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에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는데 이어,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K-웹툰과 신선한 컬래버로 판타스틸 광고의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가 나혼렙과 협업한 판타스틸 광고 영상은 LCK 생중계로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다.실제 지난달 15일 공개한 티저 영상에서 ‘POSCOLLECTION’이라는 의미심장한 단어와 웹툰에 등장하는 무기들을 강조해 대중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냈다. 철강회사 포스코와 판타지 K-웹툰의 이색적인 협업 결과는 다음달 오픈할 판타스틸 광고 영상 본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포스코는 국내 철강사 중 최초로 2021년 10월 회사의 캐릭터인 ‘포석호’를 만들어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포석호를 활용한 굿즈 개발, 온라인 팝업스토어 운영 등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철강업과 관련된 보수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진입 장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