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뒤편 낙후지역인 서계동 일대를 관광·문화 거점으로 개발하는 내용의 지구단위계획이 마련됐다. 주거지는 구릉지형을 살려 재생하기로 했다. 하지만 상당수 지역 주민은 전체를 철거한 뒤 재개발하는 안을 선호해 진통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제5차 도시건축위원회에서 용산구 서계동 224 일대 21만6230㎡를 3개 권역으로 나눠 정비·관리하는 ‘서계동 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확정된 계획에 따르면 서울역과 공항철도 역세권에 자리잡은 국립극단과 대한통운 부지 등 6곳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다. 각각 공연, 호텔, 업무, 도심형주거 등으로 복합개발토록 했다. 청파로와 만리재로 등 간선가로변 권역은 서울역과 연계한 업무 기능과 도심부를 지원할 수 있는 업무·주거복합 기능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만리재로변 노후 주택 밀집지역 일대 2곳은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했다.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 후 3년 이내 특별계획구역 지정을 제안할 수 있다. 노후주택이 밀집한 구릉지 주거지는 언덕 경관과 옛길 등을 살릴 수 있는 건축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방침이다. 건축물의 최대 개발 규모는 구역별 특성에 따라 간선가로변 2000㎡, 구릉지 일대 500~1000㎡ 이하로 설정했다. 다만 올해 제정된 ‘빈집 및 소규모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용산구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치면 3000㎡까지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서계동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의 경제여건과 주택 노후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행정이라는 주장이다. 서계동 주민 일부는 전날 서울시청 앞에서 지구단위계획안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서계동 주민협의회 관계자는 “개별적으로 신축하라는데 주민 대부분이 그 정도의 경제력이 없다”며 “차도 들어올 수 없을 정도로 골목이 좁고 낙후가 심각한데 서울시가 ‘구릉지형 살리기’에만 집착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