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자금조달안 보고 결정"
금호타이어 매각은 마지막까지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사진)의 컨소시엄 허용 요구를 ‘조건부 수용’하는 안건을 논의하면서 상황은 또 바뀌었다. 이제는 ‘선(先) 허용이냐, 후(後) 허용이냐’를 둘러싼 채권단과 박 회장 간 갈등이 빚어질 전망이다.

23일 금호타이어 채권단에 따르면 지난 22일 부의된 두 가지 안건 중 한 건만 채택될 전망이다. 단순히 박 회장(우선매수권자)의 컨소시엄 구성을 허용하는 안건은 부결되고, 박 회장이 컨소시엄 구성 현황과 자금조달 증빙서류를 제출했을 때 문제가 없으면 허용해주는 ‘조건부 허용’ 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박 회장에게 공을 넘기는 것이어서 더 이상 형평성 논란은 없을 거라는 게 채권단의 예상이다.

"박삼구 자금조달안 보고 결정"
관건은 박 회장이 채권단을 납득시킬 만한 컨소시엄 구성 현황과 자금 조달 증빙서류를 제출할 수 있느냐다. 금호 측은 “아직 결정나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부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지켜보고 그때 입장을 밝히겠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조건부 허용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박 회장의 컨소시엄이 사전에 허용되지 않으면 당초 돈을 빌려주겠다던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나올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박 회장 입장에서 조건부 허용은 달갑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 허용, 후 허용’을 두고 갈등을 빚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채권단은 박 회장이 컨소시엄 구성안 등을 먼저 제출하면 허용해주는 방안을, 박 회장은 채권단이 허용해주면 컨소시엄 구성안 등을 제출하는 방안을 각각 주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채권단은 박 회장의 컨소시엄 구성안에서 박 회장 개인의 자금 참여 규모와 다른 투자자들의 건전성 여부를 확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 측은 채권단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부의된 안건에 대한 결의 시한은 오는 27일이다.

정지은/김일규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