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서 '바로주문 서비스' 출시
지인과 카톡하며 주문 가능 장점
"14개 브랜드서 지속 확대할 계획"
배달의민족·요기요·배달통 '긴장'
"300여곳 이상 브랜드 확보
가맹점 프로모션 예정대로 진행"
카카오가 배달 음식 주문중개 사업에 뛰어들면서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배달 앱(응용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들과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카카오가 별도 앱이 아니라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온·오프라인 연계(O2O) 서비스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1위 메신저 회사인 카카오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기존 강자들이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카카오톡으로 피자 치킨 주문
카카오는 지난 21일 카카오톡에서 바로 치킨 피자 등 프랜차이즈 음식을 주문·결제할 수 있는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를 출시했다. 카카오톡 주문하기는 비즈니스 계정인 ‘플러스친구(플친)’에서 이뤄진다. 카카오톡 주문하기 플친 계정을 친구로 추가한 뒤 원하는 배달 음식을 골라 대화창에서 곧바로 주문하고 결제할 수 있다. 해당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플친 계정과 각각 친구를 맺어 배달 음식을 시킬 수도 있다.
배달 예상 시간 확인이나 도착 시간 지정 예약 기능도 지원한다. 매장접수나 배달 출발 등 진행 과정을 알림톡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지인과 메뉴를 카카오톡으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카카오톡 주문하기는 카카오가 지난해 7월 지분을 투자한 주문중개 스타트업인 씨엔티테크에서 운영을 담당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씨엔티테크를 통해 대형 프랜차이즈 본사와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해당 프랜차이즈의 전국 가맹점 어디서든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며 “가맹점 단위로 계약을 맺는 기존 배달 앱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고객·가맹점 확보 경쟁 심화
카카오톡 주문하기를 통해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브랜드는 피자헛 미스터피자 굽네치킨 놀부보쌈 버거킹 등 14개다. 카카오 측은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확대할 계획이기 때문에 고객 및 가맹점 확보를 위한 기존 사업자와의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톡 주문하기에 참여하는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플친을 통해 카카오톡 이용자들에게 메시지로 신메뉴 출시, 프로모션 등의 소식을 전달할 수 있고 쿠폰을 보내 주문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며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다양한 브랜드 소식을 알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응답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나 1 대 1 채팅 기능을 적용하면 고객과 직접 상담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2월 한 달간 배달앱 사용자 수는 배달의민족이 298만명, 요기요와 배달통은 각각 178만명과 61만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앱으로 주문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각각 300여개, 100여개에 달한다. 배달앱 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프로모션 계획도 예정대로 하고 있고 아직까진 프랜차이즈 가맹업주들의 변화를 못 느끼고 있다”면서도 “앞으로 카카오톡 배달 주문 건수 등 추이를 파악하고 시장 변화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여부를 모든 식품에 표기하도록 하는 'GMO 완전표시제'가 다시 발의되면서 9일 식품업계가 이를 주목하고 있다. GMO 완전표시제가 GMO 식품에 대한 근거 없는 공포를 부추기고, 식품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이 될까 우려하기 때문이다. 지난 6일 GMO 식품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전자변형 DNA 또는 단백질의 잔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식품에 GMO 식품임을 입증하는 표시를 하도록 하는 내용의 식품위생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은 유전자변형 DNA 또는 유전자변형 단백질이 남아 있는 식품만 이를 표시하도록 했다. 하지만 개정안은 GMO를 원재료로 이용했다면 이를 모두 표시하도록 한다. 13년간 논의해온 해묵은 논란이다. GMO 식품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과학적 근거와 식품업계 반발 등에 부딪혀 진전되지 못했다. 이번 개정안에는 '단계적 도입안'을 내놓은 게 과거 법안과 다른점이다. 간장, 대두유, 물엿 등 주요 품목부터 단계적으로 GMO 표시를 하도록 했다. 식풉업계는 GMO 식품에 대한 우려는 음모론에 가깝다고 반발한다. 2016년에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 107명이 GMO의 안전성을 주장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는 점 등이 주요 반박 근거다. 관련 제품 가격 인상만 부추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바이오경제학회 시나리오 연구에 따르면 식용유지류 생산비는 최대 6.9%, 장류 생산비는 7.3%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올리브유 등의 사용량은 늘어날 수 있지만, 반대로 식용류 시장은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업계는
한국 배터리업계의 최대 경쟁자인 중국 CATL은 연구개발(R&D) 인력에 한해 이른바 ‘8·9·6 근무제도’(오전 8시 출근, 오후 9시 퇴근, 주 6일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중국의 고강도 노동을 상징하는 ‘9·9·6 근무제’를 능가한다. 과로를 당연하게 여긴다는 비판도 있지만, CATL을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으로 끌어 올린 원동력이란 평가도 동시에 받는다.한국 배터리업계가 2차전지 R&D에 ‘화이트칼라 이그젬션’(주 52시간 근로제 예외)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도체처럼 배터리업계도 경쟁국과 같이 R&D 근무 제한을 줄여야 무한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얘기다.국회는 반도체 분야 화이트 이그젬션 법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까지 전향적 태도를 보이면서 여야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주 40시간 제도에 예외를 두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을 시행하고 있다. 연봉 10만달러(약 1억4500만원) 이상 받는 사무직 근로자가 대상이다. 초과근무시간 수당(시간당 임금의 1.5배) 없이 추후 업무 성과를 토대로 급여를 지급한다. 적용 대상에는 연구직뿐 아니라 관리직과 행정직도 포함된다. 중국은 주 52시간제 같은 법적 제한이 없다. 첨단 산업 분야는 주당 72시간을 일하는 996제도가 정착됐다.배터리업계에선 한국도 연구직에 한해 주 52시간제 예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루가 다르게 기술이 급변하는 배터리업계에선 스피드가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CATL 핵심 연구진은 필요에 따라 주당 70~80시간을 일하는데, 한국만 손발이 묶여선 더 좋은 제품을 더 빨리 출시할 수 없다는 얘기다.한 배터리업체 관계자는 “CATL과
‘-8416억원 vs 4043억원.’지난해 4분기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영업적자와 일본 파나소닉의 영업이익을 비교한 수치다. 확장에 ‘올인’한 한국 업체들이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과 함께 기록적인 적자를 낸 반면 일본 파나소닉은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가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사업 다각화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선 공격적 시설 확장 계획을 내놓은 한국 업체들이 수년간 투자 속도 조절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9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국내 1위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225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한 SK온은 4분기에 3594억원, 삼성SDI는 2567억원의 적자를 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동시에 분기 적자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온의 지난해 연간 영업적자는 1조1270억원에 달했다.반면 일본 1위 파나소닉은 지난해 4분기 4043억원의 영업흑자를 냈다. 세계 1위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 외에는 고객군을 무리하게 늘리지 않으며 내실화를 다진 전략이 전기차 캐즘 시기에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한국 주요 고객사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이 수요 부진으로 시설 확장 계획을 미루고 있는 점과 대비된다.요즘 뜨고 있는 ESS 분야에서도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차이를 보였다. 미국에선 태양광 발전 설치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여기서 만든 전기를 저장하는 ESS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파나소닉은 ESS 시장에 일찌감치 힘을 준 끝에 ESS 매출 비중을 35%까지 늘렸다. 10%대 안팎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보다 높다. SK온의 ESS 실적은 미미하다.중국 CATL도 지난해 4분기 3조원대 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