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도 신규 집단대출 중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 상호금융 대출점검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 작년의 절반수준으로 억제
대출 증가율 높은 캐피털사 모니터링도 강화키로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 작년의 절반수준으로 억제
대출 증가율 높은 캐피털사 모니터링도 강화키로
![새마을금고도 신규 집단대출 중단](https://img.hankyung.com/photo/201703/AA.13611489.1.jpg)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상호금융정책협의회에서 상호금융업권 가계대출 동향을 점검한 뒤 이 같은 감독방향을 마련했다. 정부가 지역농협과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을 한층 조이기로 한 것은 상호금융권이 자산 늘리기에 치중하면서 경쟁적으로 가계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은행권의 올 1~2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조원)에 비해 2조원 줄었지만 상호금융권은 반대다. 상호금융권의 1~2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의 2조1000억원보다 1조8000억원이나 늘었다. 정부는 상호금융권 대출은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신용 차입자가 많고,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낮아 금리 인상에 따른 부실화 우려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는 새마을금고중앙회를 통해 각 새마을금고가 신규 집단대출을 중단하도록 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보험사, 지역농협·수협, 신협, 저축은행 등 다른 2금융권에 대해선 가계대출 관리계획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점검하기로 했다. 앞서 보험권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 수준을 전년 대비 60%로, 지역농협·수협, 신협, 저축은행은 50%로 설정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상호금융정책협의회에 앞서 캐피털회사 등 20개 여신전문금융회사 대표와 간담회를 열고 가계대출 건전성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 캐피털사 등의 가계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안팎으로 낮지만 금리 인상 때 한계·취약차주의 상환능력 약화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