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법정관리 '초읽기'] "정부·산업은행이 정답 줬는데 왜 주저하고 반대하는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하소연
임종룡 금융위원장(사진)은 대우조선해양 회생안과 관련해 “자율적 채무재조정은 초단기 법정관리(P플랜)로 갈 경우 발생할 막대한 손실을 막아보자는 취지”라며 “국민연금공단 등 사채권자들이 왜 주저하고 반대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사채권자들이 요구하는 국책은행 추가 손실부담, 4월 회사채 우선상환 등의 요구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임 위원장은 1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우조선 회생안에 사채권자들이 동의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통화 내내 “답답하다”고 했다. 또 “정부·산업은행이 문제와 정답을 다 줬는데 왜 사채권자들이 정답을 선택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정부·산은은 1조3500억원의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 등 사채권자들에게 ‘보유 회사채 50%를 상환유예해주면 3년 뒤 원리금을 반드시 갚아주겠다’는 협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사채권자들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이 P플랜으로 가면 사채권자들은 사실상 한푼도 못 받는다”며 “하지만 채무재조정에 동의하면 회사채 중 절반을 회수할 수 있고 대우조선 주식거래가 재개되면 출자전환하는 회사채도 일부나마 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게 이득인지 정답은 나와 있지 않느냐”며 “만기 때 산은·수출입은행의 보유채권보다 사채권자들에게 우선상환권을 주겠다는데도 무조건 반대하는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다들 왜 몸만 사리는지…”라고도 했다.
4월 회사채 우선상환 등 국민연금의 요구에 대해선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대우조선은 이달 말 유동성자금이 9000억원가량 모자라는 상황”이라며 “4월 만기 회사채 4400억원을 갚아줄 여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또 “국책은행이 회사채 상환을 보증해달라는 요구도 선례가 없다”며 “국민연금 회사채를 상환보증해주면 시중은행, 개인투자자에 대해서도 모두 보증해줘야 한다”고 했다.
임 위원장은 “현 상황에서 볼 때 대우조선의 P플랜 확률이 높아진 것 같다”며 “국민연금 등이 채무재조정에 동의하지 않으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P플랜으로 가는 게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임 위원장은 1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우조선 회생안에 사채권자들이 동의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통화 내내 “답답하다”고 했다. 또 “정부·산업은행이 문제와 정답을 다 줬는데 왜 사채권자들이 정답을 선택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정부·산은은 1조3500억원의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 등 사채권자들에게 ‘보유 회사채 50%를 상환유예해주면 3년 뒤 원리금을 반드시 갚아주겠다’는 협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사채권자들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이 P플랜으로 가면 사채권자들은 사실상 한푼도 못 받는다”며 “하지만 채무재조정에 동의하면 회사채 중 절반을 회수할 수 있고 대우조선 주식거래가 재개되면 출자전환하는 회사채도 일부나마 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게 이득인지 정답은 나와 있지 않느냐”며 “만기 때 산은·수출입은행의 보유채권보다 사채권자들에게 우선상환권을 주겠다는데도 무조건 반대하는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다들 왜 몸만 사리는지…”라고도 했다.
4월 회사채 우선상환 등 국민연금의 요구에 대해선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대우조선은 이달 말 유동성자금이 9000억원가량 모자라는 상황”이라며 “4월 만기 회사채 4400억원을 갚아줄 여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또 “국책은행이 회사채 상환을 보증해달라는 요구도 선례가 없다”며 “국민연금 회사채를 상환보증해주면 시중은행, 개인투자자에 대해서도 모두 보증해줘야 한다”고 했다.
임 위원장은 “현 상황에서 볼 때 대우조선의 P플랜 확률이 높아진 것 같다”며 “국민연금 등이 채무재조정에 동의하지 않으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P플랜으로 가는 게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