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 증시 830][마켓진단]출연 : 박종연 NH투자증권 채권전략팀 팀장-4월 금통위 전망금통위는 지난 해 5월 마지막 금리인하를 단행한 이후 지금까지 동결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이번 4월 금통위에서도 만장일치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국내 수출이 호조세로 전환되고 있지만 중국 관광객들이 급감하면서 내수에 타격을 미쳤다. 무엇보다도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란 쉽지 않다.-5월 새 정부 출범 앞두고 한은은 어떤 행보를 보일까?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적극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펼친다면 통화정책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새 정부의 정책적 성향 및 경기부양 의지 등이 정치적 부분에서 지켜봐야 할 변수이다. 만약 예상치 못하게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가팔라질 경우 국내에도 상당한 압박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 가능성은 낮고,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했을 때 올해 통화정책은 인하, 인상 모두 어렵기 때문에 동결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된다.-美 14일, 첫 환율보고서 발표 예정이번 주말에 발표예정인 미국의 환율보고서에서 한국과 대만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미국과 중국은 여러 가지 갈등관계가 유발되었고, 트럼프 정부가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대만이 본보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즉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에는 요건들에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면서 유예기간을 두어 시정해 나갈 시간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유지될까?최근 국내 수출의 호조세는 단가효과가 크다. 국제유가가 지난 해 대비 상승했었는데 3월 이후부터 유가 상승에 대한 기저효과가 하락한다. 때문에 3월 이후 수출증가율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4월에는 수출증가율이 한 자릿수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내수 측면에서 건설투자가 약화되었고 중국 관광객 급감 등으로 인해 민간소비가 둔화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물가상승률, 소폭 상향조정 될까?지난 해 전기세 인하로 인해 물가는 1%에 불과했기 때문에 전기세 정상화로 인해 2% 내외의 물가상승률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물가상승률은 1.8%이며 이를 소폭 상향할 가능성은 있지만, 국제유가가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50달러 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폭 상향에 그칠 것이다.-대응전략올해 국내 통화정책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이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통화정책, 내부적으로는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 여부를 살펴 야 한다. 대북 이슈는 이번 주 말에 긴장감이 가장 고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파가 큰 극단적인 상황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번 주가 지나가면서 불안심리가 진정되어 각 자산에 대한 저가매수 기회가 생길 수 있다.김은성eskim@wowtv.co.kr[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출발 증시, 평일 오전 8시 30분 LIVE한국경제TV 핫뉴스ㆍ박명수 여의도 접촉사고 현장 포착`··2억원 레인지로버에서 내리면서 한 말이?ㆍ홍상수-김민희 행복, 세 번 멍든 홍상수 아내 “지금 죽을 맛이다”ㆍ김고은 신하균 결별, 공유 찌라시 내용 때문? “아니땐 굴뚝에도 연기”ㆍ`문채원 남친` 주장…"둘이 XX하는 인증샷까지 보내주리?"ㆍ구하라, 연예계 싸움 서열 1위?…춘자가 인정한 `걸그룹 주먹왕` (비디오스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