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성장률 전망치 올린 한은] 이주열 "성장세 다소 확대"…시장선 하반기 금리 인상론 '솔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준금리 10개월째 동결
3년 만에 성장률 상향 조정
글로벌 경제 회복 힘입어 수출 늘고 설비투자 증가
소비심리도 개선 추세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
중국 사드보복·미국 보호무역 등 불확실한 대외변수 여전
당분간 통화완화 기조 유지
3년 만에 성장률 상향 조정
글로벌 경제 회복 힘입어 수출 늘고 설비투자 증가
소비심리도 개선 추세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
중국 사드보복·미국 보호무역 등 불확실한 대외변수 여전
당분간 통화완화 기조 유지
경기에 대한 한국은행의 판단은 두 달 새 확실히 달라졌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지난 2월만 해도 “수출과 설비투자는 개선 흐름이지만 소비는 전망 수준을 밑돌고 있다”고 했다. 엇갈리는 지표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을 강조했다. 13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선 “국내 실물 경제는 최근 성장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경기 회복세에 무게중심을 뒀다. 2014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다만 ‘4월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경제 회복을 공식화한 정부에 비해 아직은 신중한 편이다. 중국 등 주요국과의 교역 여건,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 가계부채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10개월째 기준금리(연 1.25%)를 동결한 것도 이런 이유 탓이다.
수출·설비투자, 경제 회복세 선도
한은은 이날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6%로 전망했다. 지난 1월 발표한 2.5%에서 0.1%포인트 올렸다. 수정 전망치는 정부·국제통화기금(IMF)과 같고 한국경제연구원(2.5%), 한국개발연구원(2.4%)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는 소비가 여전히 저조했지만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다소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지난해 4분기 실질 GDP 증가율이 올 1월에 예상했던 0.4%보다 높은 0.5%로 잠정 집계됐다. 올 1분기 성장세도 예상을 웃돌았다. 정보기술(IT) 대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예상보다 늘어서다. 이 총재는 “반도체 등 IT업종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설비투자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좀체 개선되지 않던 소비심리도 호전되고 있다는 게 한은 평가다. 그는 “연초에 소비심리를 많이 우려했는데, 대통령 선거 일정이 확정되면서 불확실성이 완화돼 소비심리가 개선됐다”고 했다.
“통화 완화 기조는 당분간 유지”
경기 회복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는 낮다. 석유류의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가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중기물가안정목표인 2% 수준에서 움직일 것이란 예상이다.
이 총재는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GDP갭(실질생산과 잠재생산 차이)은 마이너스(-)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며 “대외 교역 여건을 둘러싼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잠재해 있다”고 진단했다. GDP갭이 마이너스라는 건 경제가 기초체력상 달성할 수 있는 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이 총재는 “국내 경제가 회복세에 있고, 단기적으로는 전망도 밝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히 잠재해 있는 상태”라며 경제 회복세를 지지하기 위한 통화정책 완화 기조는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시장에선 하반기 금리 인상 전망
시장에선 이르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한 차례 정도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적어도 올 하반기에 두 차례 이상 추가로 금리를 올릴 전망이어서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하면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일어나 외국인 자금 이탈 충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경제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지표가 이어지면 이르면 연말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예상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도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영향까지 반영했는데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높아졌다”며 “오히려 새 정권 출범 이후 재정 확대로 회복세가 가팔라지면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다만 ‘4월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경제 회복을 공식화한 정부에 비해 아직은 신중한 편이다. 중국 등 주요국과의 교역 여건,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 가계부채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10개월째 기준금리(연 1.25%)를 동결한 것도 이런 이유 탓이다.
수출·설비투자, 경제 회복세 선도
한은은 이날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6%로 전망했다. 지난 1월 발표한 2.5%에서 0.1%포인트 올렸다. 수정 전망치는 정부·국제통화기금(IMF)과 같고 한국경제연구원(2.5%), 한국개발연구원(2.4%)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는 소비가 여전히 저조했지만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다소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지난해 4분기 실질 GDP 증가율이 올 1월에 예상했던 0.4%보다 높은 0.5%로 잠정 집계됐다. 올 1분기 성장세도 예상을 웃돌았다. 정보기술(IT) 대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예상보다 늘어서다. 이 총재는 “반도체 등 IT업종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설비투자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좀체 개선되지 않던 소비심리도 호전되고 있다는 게 한은 평가다. 그는 “연초에 소비심리를 많이 우려했는데, 대통령 선거 일정이 확정되면서 불확실성이 완화돼 소비심리가 개선됐다”고 했다.
“통화 완화 기조는 당분간 유지”
경기 회복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는 낮다. 석유류의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가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중기물가안정목표인 2% 수준에서 움직일 것이란 예상이다.
이 총재는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GDP갭(실질생산과 잠재생산 차이)은 마이너스(-)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며 “대외 교역 여건을 둘러싼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잠재해 있다”고 진단했다. GDP갭이 마이너스라는 건 경제가 기초체력상 달성할 수 있는 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이 총재는 “국내 경제가 회복세에 있고, 단기적으로는 전망도 밝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히 잠재해 있는 상태”라며 경제 회복세를 지지하기 위한 통화정책 완화 기조는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시장에선 하반기 금리 인상 전망
시장에선 이르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한 차례 정도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적어도 올 하반기에 두 차례 이상 추가로 금리를 올릴 전망이어서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하면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일어나 외국인 자금 이탈 충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경제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지표가 이어지면 이르면 연말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예상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도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영향까지 반영했는데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높아졌다”며 “오히려 새 정권 출범 이후 재정 확대로 회복세가 가팔라지면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