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인 성지'서 시민들의 낙원 된 종로 낙원상가
1969년 종로 한복판에 둥지
1980년대 통기타 열풍으로 전성기
노래방 뜨자 한때 철거 위기
10대에서 80대까지 발길
작년 '우리들의 낙원상가' 프로젝트
야외무대서 공연하고 플리마켓…토요일엔 클래식 콘서트·영화 상영
무료 악기 강습으로 실력 가꾸고 막걸리에 추억 삼키는 사람 많아
1990년대 전국을 장악한 노래방은 악기 수요를 갉아먹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철거 위기에까지 놓였다. 지금은 달라졌다. 건물 안전성은 물론 보존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철거 계획이 철회됐다. 지난해 4월부턴 상인들과 건물 운영사가 힘을 합쳐 ‘우리들의 낙원상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10~20대는 미디 등 전자 악기를 사러, 30~50대는 악기를 배우러, 60~80대는 그 시절을 추억하러. 그렇게 각자의 낙원을 찾아 낙원상가에 모여든다. 음악인의 낙원에서 시민의 낙원으로
지난 13일 찾아간 낙원상가 4층 녹음실에서는 넥타이를 맨 직장인 다섯 명이 신나게 음악을 녹음하고 있었다. 어둡고 답답한 녹음실이 아니다. 통유리로 된 녹음실에서는 푸른 잔디로 뒤덮인 낙원상가 야외무대가 한눈에 들어왔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이 녹음실 이용료는 한 시간에 1만5000원. 창고로 쓰이던 공간을 헐고 합주실과 녹음실로 바꿨다. 지난 연말에는 한 달 전 예약이 다 찰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 낙원상가는 칙칙하고 어두운 공간이었다. 허리우드극장 외에 별다른 문화공간도, 휴식공간도 없었다. 2012년부터 서서히 변했다. 야외 광장에 100석 규모의 아트라운지 ‘멋진 하늘’ 공연장을 조성했다. 작년에는 ‘반려악기 캠페인’을 벌이면서 각종 악기와 보컬 강습, 재즈와 클래식 공연을 하고 영화를 상영했다.
공간이 바뀌자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달라졌다. 색소폰과 아코디언 등 클래식 악기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중장년층이 찾았다. 음악 작곡과 믹싱에 필요한 미디 기기 상점은 교복 입은 중·고교생과 대학생으로 붐비기 시작했다. 외국인도 몰려들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악기를 수리하러 찾아오기도 하고, 낙원상가 장인들을 초빙하기도 한다. 주한 외국인이 참여해 밴드 음악을 재능기부 하는 ‘낙원상가 서포터즈’도 생겼다.
터줏대감처럼 한자리를 지켜온 사람들도 있다. 1976년 문을 연 한양악기는 아버지에 이어 아들 최신해 씨가 가업을 이어받았다. 손님들도 대를 이어 찾아온단다. 국내 최초이자 최고의 플루트 장인도 있다. 신광악기의 지병옥 씨는 여든을 앞둔 나이에도 여전히 책상 앞에서 플루트와 씨름 중이다. 유강호 유일뮤직 대표는 “3만여종의 악기를 취급하는 악기전문상가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라며 “전통성과 문화적·역사적 가치가 큰 공간을 시민들이 편하게 즐기러 오는 공간으로 만들어 가고 싶다”고 말했다.
나에게 맞는 반려악기 찾아볼까
낙원상가의 반려악기 캠페인은 직장인들 사이에 인기다. 반려악기 캠페인은 낙원상가가 ‘단순한 악기를 넘어 평생을 함께할 수 있는 1인 1악기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악기·보컬 강습인 ‘미생 응원 이벤트’는 두 달간 주 1회 저녁에 무료로 열린다. 지난해 다섯 차례 진행했고, 현재 5월 학기 수강생을 모집 중이다. 기타와 보컬, 우쿨렐레 강습 등이 있다.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무료 악기 강습 이벤트, 중고 악기 기부 캠페인 등도 있다. 안 쓰는 악기를 기부하면 장인의 손을 거쳐 지역아동센터에 전달하는 악기나눔 캠페인도 한다.
주말에는 ‘나만의 우쿨렐레 만들기’ 이벤트도 열린다. 재료비 5만원만 내면 반제품인 우쿨렐레에 줄을 끼우고 마감재를 칠하는 등 직접 체험하며 악기를 소유할 수 있는 기회다. 낙원상가에선 매주 토요일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다. 클래식 렉처 콘서트 ‘하루키, 미야자키 하야오를 만나다’(4월29일), 재즈피아니스트 송영주의 ‘어 나이트 인 서울’(5월20일), 고상지 트리오의 ‘한여름밤 아르헨티나 여행을’(6월17일) 등이 야외무대에서 열린다. 5월과 6월에는 ‘비긴 어게인’ ‘말할 수 없는 비밀’ ‘미드나잇 인 파리’ ‘로마 위드 러브’ 등 야외 영화 상영회도 예정돼 있다. 한낮에는 야외무대 앞 잔디마당에서 악기상가 상인들이 악기를 들고 와 장터를 여는 ‘우리들의 낙원상가 플리마켓’도 마련된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