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기사회생'] 대우조선에 2조9000억 신규자금…수주절벽 넘어야 '정상운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우조선 경영정상화 다음주부터 가동
은행·사채권자 2조9100억 상반기 출자전환
선수금환급보증 재개…올 55억달러 수주 '탄력'
2021년 매출 6조~7조 '강소 조선사' 탈바꿈
은행·사채권자 2조9100억 상반기 출자전환
선수금환급보증 재개…올 55억달러 수주 '탄력'
2021년 매출 6조~7조 '강소 조선사' 탈바꿈
이제 공은 대우조선해양에 돌아갔다. 그간 반대의 뜻을 굽히지 않던 국민연금공단이 진통 끝에 채무재조정안을 수용하기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대우조선은 초단기 법정관리(P플랜)를 면하게 됐다. 정부와 산업은행은 오는 17~18일 사채권자 집회가 무난히 끝나면 지난달 23일 마련한 대우조선 정상화 방안을 곧바로 가동할 계획이다.
◆벼랑 끝 탈출하는 대우조선
국민연금이 채무재조정안에 동의하면서 대우조선은 큰 고비를 넘기게 됐다. 다른 사채권자도 있지만 국민연금의 결정을 따를 가능성이 커 다음주 초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재조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사채권자들은 1조3500억원 규모의 대우조선 회사채 중 절반을 주식으로 바꿔주고, 나머지 절반은 3년 뒤에 받는다.
사채권자 집회가 끝나면 산은과 수출입은행은 신규 자금 2조9000억원을 곧바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 돈은 대우조선의 선박 건조 등 운영비와 협력사 납품대금 결제 등으로 우선 쓰인다.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사채권자는 상반기 중 출자전환도 마무리할 예정이다. 출자전환 규모는 2조9100억원으로, 출자전환이 마무리되면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2732%에서 300%가량으로 낮아진다. 정부는 이를 통해 9월께 한국거래소의 상장실질심사를 거쳐 하반기 대우조선 주식 거래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동안 끊겼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도 재개될 전망이다. 시중은행은 산은·수은이 1차적으로 대우조선에 RG를 발급해준 뒤 발주 취소 등의 사정이 생기면 RG를 복(復)보증해주기로 했다. 대우조선이 받을 수 있는 RG 한도는 2조원가량이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의 수주 영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최근 “삼정KPMG가 올해 20억달러 수주를 예상했지만 이미 4월에 15억달러를 넘겼다”며 “올 연말 목표치인 55억달러 이상을 수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수주 없으면 또 유동성 위기
정부와 산은은 이 같은 신규 자금 지원, 채무재조정이 끝나는 대로 대우조선을 강소(强小) 조선사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해양플랜트 수주를 대폭 줄이는 대신 고부가가치 선박과 방위산업에만 주력하는 구조로 바꿀 계획이다. 1만명인 직접고용인력(정규직)도 3년 뒤 9000명 이하로 줄이고 내년 말까지 자회사 대부분을 매각해 몸집을 줄이기로 했다.
정부 계획이 차질없이 이뤄지면 대우조선의 매출은 2021년께 6조~7조원 수준으로 줄어든다. 지금의 절반 수준이다. 정부와 산은은 대우조선 경영정상화가 진척되는 대로 내년 하반기부터 회사 매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형 조선3사 체제를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등 ‘빅2’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하지만 채무재조정이 되더라도 장밋빛 전망만 있는 건 아니다.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수주절벽 우려가 대표적이다. 정부는 삼정KPMG의 실사보고서를 토대로 대우조선의 수주전망치를 올해 20억달러, 내년 54억달러로 잡았다. 하지만 글로벌 조선업황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으면 대우조선은 또 유동성 위기에 몰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나마 최근 벌크선 중심으로 글로벌 해운업이 개선되는 추세여서 대우조선에 숨통이 트이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대우조선 유동성 위기의 원인으로 꼽히는 선박 인도 지연 문제도 해결돼야 한다.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난골은 대우조선이 건조를 마친 드릴십 2기(약 1조원)를 1년 넘도록 인수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드릴십 등 선박 인도가 지연되면 대우조선은 돈을 못 받아 자금난에 빠질 수 있다.
이태명/안대규/정지은 기자 chihiro@hankyung.com
◆벼랑 끝 탈출하는 대우조선
국민연금이 채무재조정안에 동의하면서 대우조선은 큰 고비를 넘기게 됐다. 다른 사채권자도 있지만 국민연금의 결정을 따를 가능성이 커 다음주 초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재조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사채권자들은 1조3500억원 규모의 대우조선 회사채 중 절반을 주식으로 바꿔주고, 나머지 절반은 3년 뒤에 받는다.
사채권자 집회가 끝나면 산은과 수출입은행은 신규 자금 2조9000억원을 곧바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 돈은 대우조선의 선박 건조 등 운영비와 협력사 납품대금 결제 등으로 우선 쓰인다.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사채권자는 상반기 중 출자전환도 마무리할 예정이다. 출자전환 규모는 2조9100억원으로, 출자전환이 마무리되면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2732%에서 300%가량으로 낮아진다. 정부는 이를 통해 9월께 한국거래소의 상장실질심사를 거쳐 하반기 대우조선 주식 거래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동안 끊겼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도 재개될 전망이다. 시중은행은 산은·수은이 1차적으로 대우조선에 RG를 발급해준 뒤 발주 취소 등의 사정이 생기면 RG를 복(復)보증해주기로 했다. 대우조선이 받을 수 있는 RG 한도는 2조원가량이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의 수주 영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최근 “삼정KPMG가 올해 20억달러 수주를 예상했지만 이미 4월에 15억달러를 넘겼다”며 “올 연말 목표치인 55억달러 이상을 수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수주 없으면 또 유동성 위기
정부와 산은은 이 같은 신규 자금 지원, 채무재조정이 끝나는 대로 대우조선을 강소(强小) 조선사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해양플랜트 수주를 대폭 줄이는 대신 고부가가치 선박과 방위산업에만 주력하는 구조로 바꿀 계획이다. 1만명인 직접고용인력(정규직)도 3년 뒤 9000명 이하로 줄이고 내년 말까지 자회사 대부분을 매각해 몸집을 줄이기로 했다.
정부 계획이 차질없이 이뤄지면 대우조선의 매출은 2021년께 6조~7조원 수준으로 줄어든다. 지금의 절반 수준이다. 정부와 산은은 대우조선 경영정상화가 진척되는 대로 내년 하반기부터 회사 매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형 조선3사 체제를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등 ‘빅2’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하지만 채무재조정이 되더라도 장밋빛 전망만 있는 건 아니다.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수주절벽 우려가 대표적이다. 정부는 삼정KPMG의 실사보고서를 토대로 대우조선의 수주전망치를 올해 20억달러, 내년 54억달러로 잡았다. 하지만 글로벌 조선업황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으면 대우조선은 또 유동성 위기에 몰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나마 최근 벌크선 중심으로 글로벌 해운업이 개선되는 추세여서 대우조선에 숨통이 트이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대우조선 유동성 위기의 원인으로 꼽히는 선박 인도 지연 문제도 해결돼야 한다.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난골은 대우조선이 건조를 마친 드릴십 2기(약 1조원)를 1년 넘도록 인수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드릴십 등 선박 인도가 지연되면 대우조선은 돈을 못 받아 자금난에 빠질 수 있다.
이태명/안대규/정지은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