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펀드] 해외 종목형 ELS 눈길…"기대수익률 연 6~1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자 틈새상품으로 각광
텐센트·아마존 기반 상품에 페이스북·애플 주가와 연계도
텐센트·아마존 기반 상품에 페이스북·애플 주가와 연계도
유명 글로벌 기업의 주식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종목형 주가연계증권(ELS)이 부쩍 늘었다. 주가지수 흐름을 추종하는 지수형 ELS의 수익률이 연 5% 안팎까지 떨어지면서 해외 종목형 ELS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많아졌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최근 중국 최대의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홀딩스와 미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 주가를 기반으로 한 종목형 ELS를 내놓았다. 만기 1년에 3개월마다 조기상환이 가능한 상품이다. 최대손실을 -10%로 제한했음에도 기대 수익률이 연 6.5%에 달한다. 미국 나스닥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해외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지만 원화로 청약하고 원화로 상환받기 때문에 환전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해외종목형 ELS를 2월 이후 3번 발행해 15억원 정도의 자금을 모았다”며 “해외 종목형 ELS가 틈새상품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장치’가 없는 상품들은 기대수익률이 더 높다. 키움증권이 최근 선보인 ‘제74회 글로벌 100조 클럽 ELS’는 기대수익률이 연 11.5%에 달한다. 기초자산은 페이스북과 애플 주가이며 계약 시점보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40%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된 원리금을 받는 조건이다.
한국과 해외 기업을 한 바구니에 담는 사례도 있다. 키움증권의 4월 상품은 삼성전자와 애플 주가를 기반으로 발행됐으며 기대수익률은 연 12.3%에 달한다. 6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가 있고 3년이 만기라는 점은 이전에 선보인 해외 종목형 ELS와 동일하다.
업계에선 해외 종목형 ELS를 찾는 투자자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기대 수익률이 높은데다 미래에셋대우처럼 안전장치를 강화한 변형 상품을 내놓는 사례도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는 “기존 ELS 상환대금 중 10~20%를 해외 종목형 ELS로 돌리는 게 일반적”이라며 “지수형에 비해 높은 손실 위험을 감안해 자산 일부만 투자할 것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미래에셋대우는 최근 중국 최대의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홀딩스와 미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 주가를 기반으로 한 종목형 ELS를 내놓았다. 만기 1년에 3개월마다 조기상환이 가능한 상품이다. 최대손실을 -10%로 제한했음에도 기대 수익률이 연 6.5%에 달한다. 미국 나스닥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해외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지만 원화로 청약하고 원화로 상환받기 때문에 환전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해외종목형 ELS를 2월 이후 3번 발행해 15억원 정도의 자금을 모았다”며 “해외 종목형 ELS가 틈새상품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장치’가 없는 상품들은 기대수익률이 더 높다. 키움증권이 최근 선보인 ‘제74회 글로벌 100조 클럽 ELS’는 기대수익률이 연 11.5%에 달한다. 기초자산은 페이스북과 애플 주가이며 계약 시점보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40%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된 원리금을 받는 조건이다.
한국과 해외 기업을 한 바구니에 담는 사례도 있다. 키움증권의 4월 상품은 삼성전자와 애플 주가를 기반으로 발행됐으며 기대수익률은 연 12.3%에 달한다. 6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가 있고 3년이 만기라는 점은 이전에 선보인 해외 종목형 ELS와 동일하다.
업계에선 해외 종목형 ELS를 찾는 투자자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기대 수익률이 높은데다 미래에셋대우처럼 안전장치를 강화한 변형 상품을 내놓는 사례도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는 “기존 ELS 상환대금 중 10~20%를 해외 종목형 ELS로 돌리는 게 일반적”이라며 “지수형에 비해 높은 손실 위험을 감안해 자산 일부만 투자할 것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