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대명사 '이채원 펀드'의 시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밸류10년 펀드' 순자산 4년 만에 1조원 아래로
지난해 수익률 '마이너스'
작년 이후 5000억 이상 유출…유능한 펀드매니저 이탈 이어져
지난해 수익률 '마이너스'
작년 이후 5000억 이상 유출…유능한 펀드매니저 이탈 이어져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은 국내 운용업계에서 ‘가치 투자’의 대명사로 통한다. 그의 투자 철학이 담긴 ‘한국밸류10년투자 펀드’는 저평가된 우량주를 발굴해 끈기 있게 기다린 뒤 차익을 내는 방식으로 2006년 출시 이후 150% 이상 수익을 냈다. 펀드 순자산이 한때 1조6000억원까지 불어나기도 했다.
그의 가치투자가 시련을 겪고 있다. 2014~2016년 연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에 그친 데다 투자금이 빠져나가면서 4년 만에 ‘1조원 펀드’ 자리도 내줬다. ◆수익률 부진에 뭉칫돈 유출
18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한국밸류10년투자 펀드 순자산은 952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7일 1조원 벽이 무너졌다. 펀드 순자산이 1조원 밑으로 떨어진 건 2013년 7월11일(9772억원) 후 3년9개월 만이다. 2015년 5월6일 1조6406억원까지 불어났던 펀드 순자산은 지난해 3830억원이 빠져나간 데 이어 올해 유출액도 1529억원에 달한다.
모회사인 한국투자금융지주가 대준 1000억원으로 2006년 출범한 이 펀드는 출시 1년 만에 운용규모 1조원을 돌파했다. 3년 이내 환매하면 별도 수수료를 부과하는 까다로운 조건에도 투자금이 밀려들었다. 0.97%의 수익률에 머문 2011년 ‘차화정(자동차주·화학주·정유주)’ 장세에서 주춤하긴 했지만 2012년(20.79%)과 2013년(19.39%) 반등에 성공, ‘1조원 펀드’ 자리를 꾸준히 지켰다.
최근 뭉칫돈이 빠져나가는 이유는 3년간 이어진 수익률 부진 탓이다. 이 펀드는 2014년과 2015년 0%대 수익률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엔 -4.7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장기 투자 중인 3차원(3D) 영상 측정 장비 업체 고영과 동아타이어에선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지만 한국전력과 NICE, 코리안리, 현대모비스 등에선 손실을 보고 있다. 2014~2015년 수익률 고점에 가입한 투자자를 중심으로 자금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인력 이탈로 투자 경쟁력 약화
‘이채원 펀드’의 부진은 30~40대 펀드매니저의 잇단 이탈에서 시작됐다는 시각이 많다.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독특하게 신입 공채로 펀드매니저를 채용한다. “백지 상태에서 회사의 가치투자 전략을 배워야 한다”는 이 부사장의 지론 때문이다. 이렇게 키운 공채 출신 펀드매니저 10명 이상이 대거 이직했다. 연공 서열 중심의 성과 배분 등으로 불만이 누적됐다는 후문이다.
한 펀드매니저는 “상향식(보텀업) 종목 발굴과 리서치 역량이 한국밸류의 강점”이라며 “이를 주도해야 할 ‘허리층’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경력을 따로 뽑지 않다 보니 회사에는 어린 연차와 고참 펀드매니저만 남았다”는 설명이다.
싼 종목을 장기 보유해 수익을 남기는 투자 시스템에도 균열이 생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5년 10월 23%까지 지분을 늘렸던 코스닥 상장사 비에이치 사례가 대표적이다. 2대 주주였던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이 회사 지분을 지난해 4000~5000원대에서 전량 매도했다. 이후 주가는 네 배 (18일 종가 2만1900원) 올랐다.
지난해 하반기 삼성전자를 160만원대에서 전량 매각한 것도 아쉬운 투자 사례로 꼽힌다. 한 펀드매니저는 “종목 발굴이나 매도 시점 등에 대한 직원들의 적절한 서포트(지원)가 있어야 하지만 현 인력 구조에선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그의 가치투자가 시련을 겪고 있다. 2014~2016년 연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에 그친 데다 투자금이 빠져나가면서 4년 만에 ‘1조원 펀드’ 자리도 내줬다. ◆수익률 부진에 뭉칫돈 유출
18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한국밸류10년투자 펀드 순자산은 952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7일 1조원 벽이 무너졌다. 펀드 순자산이 1조원 밑으로 떨어진 건 2013년 7월11일(9772억원) 후 3년9개월 만이다. 2015년 5월6일 1조6406억원까지 불어났던 펀드 순자산은 지난해 3830억원이 빠져나간 데 이어 올해 유출액도 1529억원에 달한다.
모회사인 한국투자금융지주가 대준 1000억원으로 2006년 출범한 이 펀드는 출시 1년 만에 운용규모 1조원을 돌파했다. 3년 이내 환매하면 별도 수수료를 부과하는 까다로운 조건에도 투자금이 밀려들었다. 0.97%의 수익률에 머문 2011년 ‘차화정(자동차주·화학주·정유주)’ 장세에서 주춤하긴 했지만 2012년(20.79%)과 2013년(19.39%) 반등에 성공, ‘1조원 펀드’ 자리를 꾸준히 지켰다.
최근 뭉칫돈이 빠져나가는 이유는 3년간 이어진 수익률 부진 탓이다. 이 펀드는 2014년과 2015년 0%대 수익률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엔 -4.7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장기 투자 중인 3차원(3D) 영상 측정 장비 업체 고영과 동아타이어에선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지만 한국전력과 NICE, 코리안리, 현대모비스 등에선 손실을 보고 있다. 2014~2015년 수익률 고점에 가입한 투자자를 중심으로 자금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인력 이탈로 투자 경쟁력 약화
‘이채원 펀드’의 부진은 30~40대 펀드매니저의 잇단 이탈에서 시작됐다는 시각이 많다.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독특하게 신입 공채로 펀드매니저를 채용한다. “백지 상태에서 회사의 가치투자 전략을 배워야 한다”는 이 부사장의 지론 때문이다. 이렇게 키운 공채 출신 펀드매니저 10명 이상이 대거 이직했다. 연공 서열 중심의 성과 배분 등으로 불만이 누적됐다는 후문이다.
한 펀드매니저는 “상향식(보텀업) 종목 발굴과 리서치 역량이 한국밸류의 강점”이라며 “이를 주도해야 할 ‘허리층’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경력을 따로 뽑지 않다 보니 회사에는 어린 연차와 고참 펀드매니저만 남았다”는 설명이다.
싼 종목을 장기 보유해 수익을 남기는 투자 시스템에도 균열이 생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5년 10월 23%까지 지분을 늘렸던 코스닥 상장사 비에이치 사례가 대표적이다. 2대 주주였던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이 회사 지분을 지난해 4000~5000원대에서 전량 매도했다. 이후 주가는 네 배 (18일 종가 2만1900원) 올랐다.
지난해 하반기 삼성전자를 160만원대에서 전량 매각한 것도 아쉬운 투자 사례로 꼽힌다. 한 펀드매니저는 “종목 발굴이나 매도 시점 등에 대한 직원들의 적절한 서포트(지원)가 있어야 하지만 현 인력 구조에선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