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A의 높은 벽, KPGA와 샷 비교해보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PGA, 장타·컴퓨터 퍼팅으로 무장
K골퍼는 또박또박 정교한 스타일
KPGA, 정확도 높지만 퍼팅 약해
K골퍼는 또박또박 정교한 스타일
KPGA, 정확도 높지만 퍼팅 약해
한국 여자 선수들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서 통산 152승을 올렸다. 남자 선수들은 이 승수의 10분의 1도 채 안 되는 14승을 미국프로골프(PGA)투어에서 수확했다. 최경주(47·SK텔레콤)의 통산 8승을 비롯해 양용은(2승) 배상문(2승) 등 3명이 ‘멀티챔프’에 올랐고, 노승렬(26·나이키)과 김시우(22·CJ대한통운)가 1승씩을 보탰다.
PGA투어의 벽이 그만큼 높다는 얘기일까. ‘높아도 너무 높은 벽’이라는 게 대다수 선수의 생각이다. 지난 2월 초청선수 자격으로 생애 첫 PGA투어 무대를 경험한 최진호(33·현대제철)는 “급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최진호는 가슴 떨리는 첫 PGA 무대에서 2라운드를 채우지도 못하고 짐을 쌌다. 이틀 동안 버디 2개를 잡은 반면 보기 13개, 더블 보기 2개를 범하며 15오버파를 쳤다. 출전자 143명 중 143등. 그는 지난해 한국프로골프(KPGA) 제네시스 대상 등 4관왕을 휩쓴 국내 투어 1인자다.
어떤 샷이 가장 차이가 날까. PGA투어와 KPGA투어 상금순위 톱10의 가장 확연한 차이는 드라이버 비거리다. PGA 상위 10명의 드라이버 평균이 301.28야드(약 275.5m)다. KPGA는 279.21야드(약 255.3m)다. 딱 20m 차이다. 파5홀 2온 성공률이 달라질 수 있는 차이다.
물론 정확도는 한국 선수들이 나은 편이다. 짧지만 ‘또박또박’ 정교하게 치는 스타일이다. 드라이버 정확도가 PGA보다 9%포인트가량 앞선다. 아이언 정확도(그린적중률) 역시 한국이 2.1%포인트 높다.
그런데 KPGA 선수들이 약한 게 퍼팅이다. 그린에 공을 더 잘 올려놓고서도 홀컵엔 빨리 넣질 못한다. 온그린 시(GIR) 평균 퍼팅이 1.742회로 PGA(1.739회)보다 0.003회 많다. 별반 차이가 없다고도 볼 수 있는 편차다. 하지만 PGA투어 그린이 국내 투어 그린보다 더 빠르고 까다롭다는 점을 감안하면 퍼팅을 또 다른 아킬레스건으로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드라이버를 똑바로 치는 게 큰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한 골프연구가는 “PGA 무대는 한마디로 ‘컴퓨터 퍼팅으로 무장한 장타자들의 전장’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며 “비거리와 퍼팅 두 부문 모두 비약적인 기량 향상이 있지 않고서는 PGA에서 활약하는 한국 선수의 모습은 점점 보기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어떤 샷이 가장 차이가 날까. PGA투어와 KPGA투어 상금순위 톱10의 가장 확연한 차이는 드라이버 비거리다. PGA 상위 10명의 드라이버 평균이 301.28야드(약 275.5m)다. KPGA는 279.21야드(약 255.3m)다. 딱 20m 차이다. 파5홀 2온 성공률이 달라질 수 있는 차이다.
물론 정확도는 한국 선수들이 나은 편이다. 짧지만 ‘또박또박’ 정교하게 치는 스타일이다. 드라이버 정확도가 PGA보다 9%포인트가량 앞선다. 아이언 정확도(그린적중률) 역시 한국이 2.1%포인트 높다.
그런데 KPGA 선수들이 약한 게 퍼팅이다. 그린에 공을 더 잘 올려놓고서도 홀컵엔 빨리 넣질 못한다. 온그린 시(GIR) 평균 퍼팅이 1.742회로 PGA(1.739회)보다 0.003회 많다. 별반 차이가 없다고도 볼 수 있는 편차다. 하지만 PGA투어 그린이 국내 투어 그린보다 더 빠르고 까다롭다는 점을 감안하면 퍼팅을 또 다른 아킬레스건으로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드라이버를 똑바로 치는 게 큰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한 골프연구가는 “PGA 무대는 한마디로 ‘컴퓨터 퍼팅으로 무장한 장타자들의 전장’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며 “비거리와 퍼팅 두 부문 모두 비약적인 기량 향상이 있지 않고서는 PGA에서 활약하는 한국 선수의 모습은 점점 보기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