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인근 해역으로 온다던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의 행방을 놓고 백악관이 “오도한 적 없다”고 부인했다. 미 언론들은 일제히 “말도 안 된다”며 비판하고 나서 공방전이 가열되고 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행정부 관료들은 칼빈슨호가 바로 한반도로 향한다고 얘기한 적이 없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것처럼 강력한 함대가 한반도로 향했으며 지금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항로 변경) 시점은 밝힌 바 없는데 뭘 오도했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도 “칼빈슨호의 행방에 대해 투명해지려고 노력했다”며 “항로를 바꾸고 있을 때 항로를 바꾸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성급하게 결론을 내린 국내외의 엉성한 보도가 사태를 키웠다”고 책임을 언론으로 돌렸다.

미 언론들은 미 정부에 일제히 포화를 퍼붓고 있다. CNN방송은 ‘스파이서의 해명은 말도 안 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우리는 매우 강력한 함대를 보내고 있다’고 분명히 밝혔다”며 “북한 도발이 예상되던 상황에서 그 발언은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만약 ‘칼빈슨호가 인도양에서 훈련을 마친 뒤 한반도로 보내질 것’이라고 했다면 강력한 경고 메시지가 담길 수 있었겠느냐”고 꼬집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주 내내 미 정부 관료들은 칼빈슨호의 위치를 매우 위협적으로 묘사했다”며 “이번 논란은 아시아 각국의 비판과 혼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를 갉아먹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커지던 8일 미 태평양사령부는 칼빈슨호가 항로를 변경해 서태평양(한반도 해역)으로 출동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칼빈슨호는 당초 예정대로 호주로 이동해 합동훈련을 마친 뒤 19일에야 항로를 바꾼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