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여파…中정부 모르쇠에 보릿고개 넘는 '공자학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아라 기자 ]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인해 국내 대학들의 공자학원 유치와 운영에도 차질을 빚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자학원은 중국 정부가 중국어와 문화를 알린다는 취지로 전 세계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인프라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각국을 지원해 매년 꾸준히 공자학원 수를 늘려왔다. 국내 대학에도 23개가 설립됐다.
지난 21일 창원대에 따르면 학교 측이 추진해온 공자학원 유치가 표류하고 있다. 이 대학은 경남 지역에 공자학원이 한 곳도 없는 점 등을 고려해 유치에 나서 실무 절차를 밟고 있었다.
창원대는 2015년 12월 협약을 맺은 뒤 지난해 5월에는 중국 둥베이대학과 공자학원 설립을 위한 컨소시엄을 꾸렸다. 같은해 11월에는 필요한 서류를 갖춰 둥베이대에 넘겼다. 예정된 수순은 둥베이대학이 공자학원 운영을 맡은 중국 국가한판에 신청서를 제출한 뒤 심사를 받는 것. 심사가 통과되면 세부 협약 등을 거쳐 바로 공자학원을 설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다. 공자학원 심사 결과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해졌다. 공자학원 설립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한판 실무자가 퇴임한 뒤 후임자가 오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관련 절차와 일정을 중국 측에 문의했던 창원대 관계자는 "아직 회신이 없다"며 답답해했다. "사드 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후임자가 오지 않았다는 소식만 전달받은 채 공자학원 유치 사업 자체가 6개월째 답보 상태"라고도 했다.
국가한판이 중국 교육부 산하 기구라는 점에서 사드 영향과 무관하지 않다고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모로코에는 공자학원이 신규 설립됐다.
통상 해외 공자학원 설립 비용은 중국 공자학원 본부와 현지 기관이 1:1 매칭 형태로 부담한다. 설립 후 강사 임금, 수강생 장학금 등 각종 활동비와 교재도 지원받는다. 원장은 현지인이, 부원장은 중국인이 맡아 공동 관리하는 식이다. 중국 측 지원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이미 설립해 운영 중인 국내 대학의 공자학원 운영도 차질을 빚고 있다. 2007년 설립된 충남대 공자학원의 경우 최근 중국인 신규 강사 5명이 비자를 받지 못했다. 비자 연장을 못한 기존 강사 한 명도 지난달 중국으로 돌아갔다.
중국 정부가 행정 절차에서 뒷짐을 지면서 공자학원에 근무하는 강사 대부분이 직접고용 원칙과 최저임금 지급 등을 위반하고 있어 비자 발급이나 연장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작년까지는 12명의 중국인 강사가 파견됐으나 현재는 절반인 6명으로 줄었다. 개설 강좌 수도 줄었다. 지난해 23개 반이 운영됐지만 지금은 18개 반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충남대 공자학원 측은 "강좌 폐강은 접수기간 내에 수강신청 인원이 최소 정원에 못 미쳐서 폐강된 것이다. 강사 수와는 관계없다"고 말했다.
같은 시기 설립된 우송대 역시 오랜기간 공자학원을 운영했지만 비자 문제로 강사가 줄면서 현재 개설 강좌는 4개만 남았다.
전방위 한·중 관계 경색이 교육기관에까지 영향을 미친 셈이다. 일부 공자학원에서 진행하는 수업은 대학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학생들 피해도 우려된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공자학원은 중국 정부가 중국어와 문화를 알린다는 취지로 전 세계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인프라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각국을 지원해 매년 꾸준히 공자학원 수를 늘려왔다. 국내 대학에도 23개가 설립됐다.
지난 21일 창원대에 따르면 학교 측이 추진해온 공자학원 유치가 표류하고 있다. 이 대학은 경남 지역에 공자학원이 한 곳도 없는 점 등을 고려해 유치에 나서 실무 절차를 밟고 있었다.
창원대는 2015년 12월 협약을 맺은 뒤 지난해 5월에는 중국 둥베이대학과 공자학원 설립을 위한 컨소시엄을 꾸렸다. 같은해 11월에는 필요한 서류를 갖춰 둥베이대에 넘겼다. 예정된 수순은 둥베이대학이 공자학원 운영을 맡은 중국 국가한판에 신청서를 제출한 뒤 심사를 받는 것. 심사가 통과되면 세부 협약 등을 거쳐 바로 공자학원을 설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다. 공자학원 심사 결과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해졌다. 공자학원 설립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한판 실무자가 퇴임한 뒤 후임자가 오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관련 절차와 일정을 중국 측에 문의했던 창원대 관계자는 "아직 회신이 없다"며 답답해했다. "사드 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후임자가 오지 않았다는 소식만 전달받은 채 공자학원 유치 사업 자체가 6개월째 답보 상태"라고도 했다.
국가한판이 중국 교육부 산하 기구라는 점에서 사드 영향과 무관하지 않다고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모로코에는 공자학원이 신규 설립됐다.
통상 해외 공자학원 설립 비용은 중국 공자학원 본부와 현지 기관이 1:1 매칭 형태로 부담한다. 설립 후 강사 임금, 수강생 장학금 등 각종 활동비와 교재도 지원받는다. 원장은 현지인이, 부원장은 중국인이 맡아 공동 관리하는 식이다. 중국 측 지원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이미 설립해 운영 중인 국내 대학의 공자학원 운영도 차질을 빚고 있다. 2007년 설립된 충남대 공자학원의 경우 최근 중국인 신규 강사 5명이 비자를 받지 못했다. 비자 연장을 못한 기존 강사 한 명도 지난달 중국으로 돌아갔다.
중국 정부가 행정 절차에서 뒷짐을 지면서 공자학원에 근무하는 강사 대부분이 직접고용 원칙과 최저임금 지급 등을 위반하고 있어 비자 발급이나 연장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작년까지는 12명의 중국인 강사가 파견됐으나 현재는 절반인 6명으로 줄었다. 개설 강좌 수도 줄었다. 지난해 23개 반이 운영됐지만 지금은 18개 반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충남대 공자학원 측은 "강좌 폐강은 접수기간 내에 수강신청 인원이 최소 정원에 못 미쳐서 폐강된 것이다. 강사 수와는 관계없다"고 말했다.
같은 시기 설립된 우송대 역시 오랜기간 공자학원을 운영했지만 비자 문제로 강사가 줄면서 현재 개설 강좌는 4개만 남았다.
전방위 한·중 관계 경색이 교육기관에까지 영향을 미친 셈이다. 일부 공자학원에서 진행하는 수업은 대학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학생들 피해도 우려된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