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년간 유망한 일자리는 대부분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IT 관련 산업에서 만들어질 전망이다.한국고용정보원은 24일 우리나라 대표 직업 195개에 대한 10년간(2016~2025년) 일자리 전망과 그 요인을 담은 `2017 한국직업전망`을 발간했다.전망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제품,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등 신산업에서 기술·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IT 직종과 관련 기술 전문직 및 전문가의 고용 성장이 예상된다.이에 반해 핀테크, 로보어드바이저, 인터넷전문은행의 확산으로 단순사무원(출납창구사무원 등)은 물론 증권 및 외환딜러 등의 전문직의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다만,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보험 및 금융상품개발자 등 핵심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생산설비의 기계화와 자동화, 산업용로봇 및 3D프린팅 기술의 확산으로 주조원, 단조원, 판금원 및 제관원 등의 일자리는 줄 것으로 한국고용정보원은 전망했다.고령화와 의료·복지 지원이 확대되면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물리 및 작업치료사, 응급구조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간병인 등의 고용 증가가 예상되는데 산부인과 의사는 저출산으로, 영상의학과 의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 확산으로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교사는 저출산 및 학령인구 감소로, 작물재배종사자와 어업종사자는 농어촌인구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이농으로 종사자 수 감소가 예상된다.경제 규모 성장과 글로벌화로 경영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경영 및 진단전문가(경영컨설턴트), 관세사, 손해사정사, 행사기획자 등 사업서비스 전문가의 고용 전망은 밝다.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가 요구가 커지고 정부 역시 안전 관련 정책을 강화하면서 경찰관, 소방관, 경호원 등 안전을 책임지는 직업들의 일자리 증가가 전망된다.4차 산업혁명으로 기존 업무에 ICT 스킬이 융합된 업무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일상 업무에 사용되는 `일반적 ICT 스킬` 외에 `전문 ICT 스킬,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네트워크 운영 등의 전문 기술까지 포함된다.박준식기자 parkjs@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박명수 여의도 접촉사고 현장 포착`··2억원 레인지로버에서 내리면서 한 말이?ㆍ이태임 수영복 자태 변천사…이 몸매가 굴욕?ㆍ송해, 시청자 불쾌감 줬던 그 장면 때문에 결국…ㆍ오윤아 “술 마시고 덮치려는 사람도 있어…결혼이 탈출구”ㆍ`서두원 스캔들` 송가연 근황 보니…ⓒ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