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 코리아] 한 번 연구하면 30년은 기본…'신념'이 만든 인공원소·입자가속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차 산업혁명 이끄는 기초과학 (1) 100년 연구소 일본 리켄의 비밀
리코·아사히 펜탁스 등 63개 기업 배출 '밑거름'
젊은 우수인재 확보 최우선…논문 한편 없어도 연구 지원
리코·아사히 펜탁스 등 63개 기업 배출 '밑거름'
젊은 우수인재 확보 최우선…논문 한편 없어도 연구 지원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리켄)는 1917년 창립 이후 100년간 물리, 화학, 생물,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1925년에 개발한 ‘알마이트’는 전기절연성이 좋으면서도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 오늘날까지 알루미늄 새시 등의 건자재에 두루 쓰이고 있다. 입자가속기 ‘사이클로트론’과 항박테리아 세제, 친환경 살충제 등도 리켄의 성과물이다.
◆100년 보는 연구 배경은 자립정신
지난해 리켄은 자사 연구진이 발견한 인공원소에 ‘니호니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를 두고 다나카 아키오 리켄 국제부 과장은 “20년 넘게 공을 들인 연구가 좋은 결과를 내 조직원들이 매우 자랑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리켄이 성과가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는 기초과학 분야에 장기간 투자할 수 있는 배경에는 ‘자기 먹거리는 자기가 찾는다’는 자립정신이 꼽힌다. 유지 가미야 명예연구원은 “초창기에는 투자받을 수 있는 자본이 부족했고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금도 한정돼 있었다”며 “리켄은 초창기 스스로 수익 창출을 해낼 정도로 자립심이 강했고 그 전통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리켄 창립을 주도한 다카미네 조키치 박사는 서구 기술을 모방하는 데서 벗어나 일본 자체의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 또 연구 성과물이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30년간 총 63개 회사를 만들었다. 훗날 카메라 회사로 성장한 리코와 아사히 펜탁스를 비롯해 리켄비타민, 오카모토고무 등이 리켄과 관련된 기업이다. 현재도 리켄은 200개가 넘는 기업과 교류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학문 분야 간 벽을 허물다
리켄은 지난해 로이터가 평가한 피인용 상위 연구자를 15명이나 확보해 글로벌 주요 연구기관 중 최상위권으로 평가됐다. 자연과학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분야에 유명 연구자들이 집중돼 있다. 리켄이 글로벌 연구중심지로 자리잡는 것은 다양한 기초학문 분야에서긴밀한 협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유지 연구원은 “농업과 관련한 화학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도 다른 연구팀에 가서 레이저 장치를 빌리거나 자문하는 데 어려움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100년 역사 동안 리켄은 젊은 우수인재 확보를 최우선 원칙으로 삼아 왔다. 일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히데키는 대학원 졸업 후 수년 동안 한 편의 논문도 내놓지 못했지만 그의 재능을 알아본 리켄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꽃을 피웠다.
오늘날 리켄 경쟁력의 밑거름으로는 기초특별연구원과 프런티어연구원이라는 독특한 인재관리 시스템을 빼놓을 수 없다. 기초특별연구원은 대학 조교수보다 많은 보수로 젊은 연구자를 적극 끌어모으는 제도다. 프런티어연구원은 임기제로 고용하되 젊은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젠스 윌킨슨 리켄 공보담당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좋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자리잡지 못한 좋은 인력이 많다”며 “젊은 인력을 유치하는 동시에 연구 실적에 따라 계약기간이 갱신되는 정년제와 단기 임기제의 장점을 결합한 고용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와코=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100년 보는 연구 배경은 자립정신
지난해 리켄은 자사 연구진이 발견한 인공원소에 ‘니호니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를 두고 다나카 아키오 리켄 국제부 과장은 “20년 넘게 공을 들인 연구가 좋은 결과를 내 조직원들이 매우 자랑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리켄이 성과가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는 기초과학 분야에 장기간 투자할 수 있는 배경에는 ‘자기 먹거리는 자기가 찾는다’는 자립정신이 꼽힌다. 유지 가미야 명예연구원은 “초창기에는 투자받을 수 있는 자본이 부족했고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금도 한정돼 있었다”며 “리켄은 초창기 스스로 수익 창출을 해낼 정도로 자립심이 강했고 그 전통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리켄 창립을 주도한 다카미네 조키치 박사는 서구 기술을 모방하는 데서 벗어나 일본 자체의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 또 연구 성과물이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30년간 총 63개 회사를 만들었다. 훗날 카메라 회사로 성장한 리코와 아사히 펜탁스를 비롯해 리켄비타민, 오카모토고무 등이 리켄과 관련된 기업이다. 현재도 리켄은 200개가 넘는 기업과 교류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학문 분야 간 벽을 허물다
리켄은 지난해 로이터가 평가한 피인용 상위 연구자를 15명이나 확보해 글로벌 주요 연구기관 중 최상위권으로 평가됐다. 자연과학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분야에 유명 연구자들이 집중돼 있다. 리켄이 글로벌 연구중심지로 자리잡는 것은 다양한 기초학문 분야에서긴밀한 협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유지 연구원은 “농업과 관련한 화학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도 다른 연구팀에 가서 레이저 장치를 빌리거나 자문하는 데 어려움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100년 역사 동안 리켄은 젊은 우수인재 확보를 최우선 원칙으로 삼아 왔다. 일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히데키는 대학원 졸업 후 수년 동안 한 편의 논문도 내놓지 못했지만 그의 재능을 알아본 리켄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꽃을 피웠다.
오늘날 리켄 경쟁력의 밑거름으로는 기초특별연구원과 프런티어연구원이라는 독특한 인재관리 시스템을 빼놓을 수 없다. 기초특별연구원은 대학 조교수보다 많은 보수로 젊은 연구자를 적극 끌어모으는 제도다. 프런티어연구원은 임기제로 고용하되 젊은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젠스 윌킨슨 리켄 공보담당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좋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자리잡지 못한 좋은 인력이 많다”며 “젊은 인력을 유치하는 동시에 연구 실적에 따라 계약기간이 갱신되는 정년제와 단기 임기제의 장점을 결합한 고용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와코=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