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 수익금도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판돈 아닌 용역 대가"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 수익금은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 혐의(조세 포탈) 등으로 기소된 인터넷 도박 사이트 운영자 임모씨(38)의 상고심에서 징역 1년 및 벌금 4억8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임씨는 2008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일명 ‘불법 스포츠토토’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며 얻은 수익을 신고하지 않아 총 20억6994만원의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를 내지 않은 혐의로 기소됐다.
임씨는 경기 결과를 맞히면 배당금을 지급하는 일종의 사설 복권을 팔았다. 재판부는 임씨가 복권을 산 사람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얻었다고 판단했다. 복권이 부가가치세 과세 근거인 ‘재화와 용역’을 충족한다고 본 것이다.
재판부는 재물을 걸고 우연한 사정이나 사태에 따라 득실을 결정하는 도박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니라고 전제했다. 그러나 “도박사업에서 고객이 낸 돈이 단순한 도박 판돈이 아니라 사업자가 제공하는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에 해당한다면 과세 대상”이라고 판결했다.
1심은 임씨에게 징역 2년 및 벌금 12억5000만원을 선고했고 2심은 임씨가 자수한 점을 반영해 처벌 수위를 낮췄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대법원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 혐의(조세 포탈) 등으로 기소된 인터넷 도박 사이트 운영자 임모씨(38)의 상고심에서 징역 1년 및 벌금 4억8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임씨는 2008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일명 ‘불법 스포츠토토’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며 얻은 수익을 신고하지 않아 총 20억6994만원의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를 내지 않은 혐의로 기소됐다.
임씨는 경기 결과를 맞히면 배당금을 지급하는 일종의 사설 복권을 팔았다. 재판부는 임씨가 복권을 산 사람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얻었다고 판단했다. 복권이 부가가치세 과세 근거인 ‘재화와 용역’을 충족한다고 본 것이다.
재판부는 재물을 걸고 우연한 사정이나 사태에 따라 득실을 결정하는 도박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니라고 전제했다. 그러나 “도박사업에서 고객이 낸 돈이 단순한 도박 판돈이 아니라 사업자가 제공하는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에 해당한다면 과세 대상”이라고 판결했다.
1심은 임씨에게 징역 2년 및 벌금 12억5000만원을 선고했고 2심은 임씨가 자수한 점을 반영해 처벌 수위를 낮췄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