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최근 미국의 대북 정책 흐름으로 볼 때 트럼프의 인터뷰 내용을 돌출발언으로 치부하고 넘길 일은 아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골격은 ‘최대한도의 압박과 관여’다. 선제공격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강경 대응이 주류를 이루다가 최근엔 ‘대화와 협상’도 함께 꺼내고 있다. 강온 양면전략이다. 대화와 관련해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온다. 대북 특사 카드가 거론되면서 한반도 안보지형 급변 가능성도 대두된다. 대화 국면으로 들어가면 미국과 북한 간에 크게 주고 크게 받는 ‘트럼프식’ 일괄타결 해법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려되는 것은 미국의 대화 움직임과 북한의 ‘통미봉남(通美封南: 한국을 제쳐두고 미국을 직접 상대)’ 전략 사이에서 한국은 배제된 채 한반도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비용 문제 등과 겹쳐 한국의 차기 정부는 큰 부담 속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북한 핵문제와 ‘협상가 트럼프’를 동시에 마주해야 한다. 차기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조속히 마주 앉아 사드 혼선을 정리하고, 한·미 동맹의 기본틀인 안보·신뢰·가치 동맹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 결기보다 냉정과 이성이 필요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