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업계 2·3위 '닭싸움'…BBQ-bhc 물류계약 소송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BQ가 bhc 매각하면서 10년간 식재료 납품 받기로
BBQ 4년 만에 계약 끊자…bhc, 서울지법에 손배소
BBQ 4년 만에 계약 끊자…bhc, 서울지법에 손배소
국내 치킨업계 2, 3위를 다투는 bhc와 제너시스BBQ가 또다시 법정공방을 벌이게 됐다. “BBQ가 2013년 당시 자회사였던 bhc를 매각하면서 10년간 물류계약을 유지하기로 약속해놓고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했다”며 bhc가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bhc는 지난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BBQ를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계약서상 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데도 BBQ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해 손해가 발생했다”는 게 bhc 주장이다. BBQ는 bhc와 체결하고 있던 물류용역계약과 상품공급계약을 지난달 10일 해지했다.
BBQ는 2013년 bhc를 미국계 사모펀드인 로하튼에 매각하면서 보유하고 있던 물류센터까지 함께 ‘패키지딜’ 방식으로 넘겼다. 패키지딜에는 ‘BBQ 계열사에 물류용역 및 소스 등 식재료를 10년간 공급하도록 해주겠다’는 약속도 포함돼 있었다. 이 같은 계약으로 bhc는 매년 100억원 이상의 추가매출을 올려왔다. BBQ 측은 물류계약 해지에 대해 “물류계약 때문에 신메뉴 개발정보 등이 경쟁사로 새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인 데다, 서비스도 bhc에 납품할 때와 BBQ로 납품할 때 차이가 나는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해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2, 3위 간 매출 경쟁에서 시작됐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bhc 측이 밝힌 지난해 본사 매출은 전년(1840억원) 대비 약 26% 증가한 2326억원으로, 처음으로 BBQ(2197억원)를 제쳤다. ‘아우의 반란’ ‘BBQ의 굴욕’ 등의 말이 나오자 BBQ가 bhc의 매출에서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물류계약을 해지한 것 아니냐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갑작스러운 물류업체 변경으로 BBQ 가맹점주들도 적지 않은 혼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치킨업체 간 경쟁 격화로 수익성이 나빠지면서 치킨가격 인상도 본격화되고 있다. BBQ는 이달 들어 가맹점별로 ‘황금올리브치킨’ 등 주요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 시작했다. 교촌, bhc 등 다른 업체들도 잇따라 치킨값을 올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bhc는 지난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BBQ를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계약서상 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데도 BBQ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해 손해가 발생했다”는 게 bhc 주장이다. BBQ는 bhc와 체결하고 있던 물류용역계약과 상품공급계약을 지난달 10일 해지했다.
BBQ는 2013년 bhc를 미국계 사모펀드인 로하튼에 매각하면서 보유하고 있던 물류센터까지 함께 ‘패키지딜’ 방식으로 넘겼다. 패키지딜에는 ‘BBQ 계열사에 물류용역 및 소스 등 식재료를 10년간 공급하도록 해주겠다’는 약속도 포함돼 있었다. 이 같은 계약으로 bhc는 매년 100억원 이상의 추가매출을 올려왔다. BBQ 측은 물류계약 해지에 대해 “물류계약 때문에 신메뉴 개발정보 등이 경쟁사로 새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인 데다, 서비스도 bhc에 납품할 때와 BBQ로 납품할 때 차이가 나는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해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2, 3위 간 매출 경쟁에서 시작됐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bhc 측이 밝힌 지난해 본사 매출은 전년(1840억원) 대비 약 26% 증가한 2326억원으로, 처음으로 BBQ(2197억원)를 제쳤다. ‘아우의 반란’ ‘BBQ의 굴욕’ 등의 말이 나오자 BBQ가 bhc의 매출에서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물류계약을 해지한 것 아니냐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갑작스러운 물류업체 변경으로 BBQ 가맹점주들도 적지 않은 혼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치킨업체 간 경쟁 격화로 수익성이 나빠지면서 치킨가격 인상도 본격화되고 있다. BBQ는 이달 들어 가맹점별로 ‘황금올리브치킨’ 등 주요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 시작했다. 교촌, bhc 등 다른 업체들도 잇따라 치킨값을 올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