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 박상재 기자 ] 주요 대선후보가 액화석유가스(LPG) 자동차 규제 완화를 외치고 있다. 정부도 규제를 푸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어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을지 관심이 쏠린다.

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은 최근 테스크포스(TF)를 꾸려 LPG 차 규제 개선을 검토 중이다.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린 경우(디젤) 차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LPG 차는 미세먼지(PM10)를 거의 배출하지 않고, 대기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NOx) 배출량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터키 등 해외에선 LPG 차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국내에서 LPG 차는 각종 규제로 인해 판매가 움츠러들고 있는 상황이다. 작년 말 기준 국내 LPG 차 등록 대수는 218만5114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9만547대 감소한 수치다.

LPG 차 등록 대수는 2010년 245만대를 기록한 뒤 계속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2011년 1만584대가 줄어든 데 이어 이듬해엔 1만1745대 줄어들었다. 2013년과 2014년엔 각각 2만2872대, 5만5484대 뒷걸임질치면서 감소폭이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인의 구매 제한 등으로 저렴한 연료비가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며 "LPG 차가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이 크지 않은 만큼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LPG 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와 달리 구매에 제약이 있다. 일반인은 5년 이상 된 중고차나 하이브리드차, 경차, 7인승 이상 레저용차량(RV)만 신차로 살 수 있다.

신차는 기아자동차의 모닝과 레이(바이퓨얼), 카렌스와 한국GM 올란도 등에 불과하다. 차종이 제한적이다 보니 완성차업체들의 신차 투입도 드물어 LPG 차 시장 활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동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규제가 풀리면 더 많은 사람들이 LPG 차를 찾게 될 것"이라며 "미세먼지 개선과 연료비 절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완성차업체들이 모델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