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택 전 한국정치학회장이 본 성공하는 대통령의 조건…"겸손하게 전 정권 정책도 계승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국내 최대 정치학회 이끌어
"정권 상징적 정책 우선 추진하고 전리품 나누듯한 인사 말아야"
"정권 상징적 정책 우선 추진하고 전리품 나누듯한 인사 말아야"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끝까지 겸손한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다’고 대통령 본인과 주변 사람이 오만하게 생각하는 순간 국민과 멀어지고 실패의 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둔 8일 서울 반포동 한 커피숍에서 만난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사진)의 말이다. 서울대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강 교수는 국내 대표적인 한국정치 전문가로 지난해 한국정치학회장을 지냈다. 관련 분야 교수, 학자, 연구원 등 2200여명을 회원으로 둔 국내 최대 정치학회다.
강 교수가 “대통령은 겸손해야 한다”고 말한 데는 여러 의미가 있다. 우선 5년이라는 임기가 생각보다 길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이 실제 일할 수 있는 시간은 3년에서 4년 반 정도”라며 “우선순위를 세워 해당 정부를 가장 잘 상징하는 정책을 임기 초반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미국산 소고기 문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인사 문제로 귀중한 시간을 허비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라며 “자신이 첫 민간인 출신 대통령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었고, 군부 청산 등 중요 과제를 임기 초반에 잘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두 번째는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이라고 무조건 부정하고 비판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강 교수는 “자신이 점령군이라고 생각하는 대통령이 많다”며 “정권이 바뀌면 정책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좋은 정책은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 전 대통령은 노무현·김대중 정부 시절을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정하고, 박 전 대통령은 이전 정권의 녹색성장을 폐기하려고만 했는데 이런 태도가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 교수는 지적했다.
대통령이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할 또 다른 분야는 인사다. 강 교수는 “각계각층에서 유능한 인재를 발굴해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많은 대통령이 전리품 나누듯 자리를 분배하거나 폐쇄적이고 제한된 인재 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실수를 저질렀다”며 “첫 인사를 잘해야 야당과 여론의 비판을 최소화하면서 임기 초반 중요한 국정과제를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한국 민주주의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라는 위기를 슬기롭게 이겨내고 한 걸음 진전했다”고 진단했다. “30여년 전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가 민주화를 이뤘습니다. 새뮤얼 헌팅턴이 ‘민주화의 제3의 물결’이라고 한 시기죠. 그런데 지금 한국만큼 민주주의를 잘 정착시킨 나라가 없습니다. 태국은 군부가 집권하고 있고, 터키는 권위주의 독재체제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
그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도 기성 정치에 대한 불만으로 극단주의와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이 힘을 얻었다”며 “한국에서도 이런 불만이 있었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어느 정도 해소돼 이번 대선에서 포퓰리즘이 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한국이 발전하려면 내각제든 이원집정부제든 정치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스웨덴은 사민당이 40년 넘게 집권하면서 복지국가 시스템을 마련했어요. 일본도 자민당 장기 집권이 전후 경제 부흥의 바탕이 됐고요. 헬무트 콜 독일 총리도 16년 동안 재임하면서 독일 통일을 이뤄냈고, 영국 보수당 역시 마거릿 대처 총리가 18년 동안 집권하면서 개혁을 이뤄냈습니다. 한국도 내각제 등 제도화된 형태로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둔 8일 서울 반포동 한 커피숍에서 만난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사진)의 말이다. 서울대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강 교수는 국내 대표적인 한국정치 전문가로 지난해 한국정치학회장을 지냈다. 관련 분야 교수, 학자, 연구원 등 2200여명을 회원으로 둔 국내 최대 정치학회다.
강 교수가 “대통령은 겸손해야 한다”고 말한 데는 여러 의미가 있다. 우선 5년이라는 임기가 생각보다 길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이 실제 일할 수 있는 시간은 3년에서 4년 반 정도”라며 “우선순위를 세워 해당 정부를 가장 잘 상징하는 정책을 임기 초반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미국산 소고기 문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인사 문제로 귀중한 시간을 허비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라며 “자신이 첫 민간인 출신 대통령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었고, 군부 청산 등 중요 과제를 임기 초반에 잘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두 번째는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이라고 무조건 부정하고 비판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강 교수는 “자신이 점령군이라고 생각하는 대통령이 많다”며 “정권이 바뀌면 정책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좋은 정책은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 전 대통령은 노무현·김대중 정부 시절을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정하고, 박 전 대통령은 이전 정권의 녹색성장을 폐기하려고만 했는데 이런 태도가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 교수는 지적했다.
대통령이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할 또 다른 분야는 인사다. 강 교수는 “각계각층에서 유능한 인재를 발굴해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많은 대통령이 전리품 나누듯 자리를 분배하거나 폐쇄적이고 제한된 인재 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실수를 저질렀다”며 “첫 인사를 잘해야 야당과 여론의 비판을 최소화하면서 임기 초반 중요한 국정과제를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한국 민주주의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라는 위기를 슬기롭게 이겨내고 한 걸음 진전했다”고 진단했다. “30여년 전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가 민주화를 이뤘습니다. 새뮤얼 헌팅턴이 ‘민주화의 제3의 물결’이라고 한 시기죠. 그런데 지금 한국만큼 민주주의를 잘 정착시킨 나라가 없습니다. 태국은 군부가 집권하고 있고, 터키는 권위주의 독재체제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
그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도 기성 정치에 대한 불만으로 극단주의와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이 힘을 얻었다”며 “한국에서도 이런 불만이 있었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어느 정도 해소돼 이번 대선에서 포퓰리즘이 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한국이 발전하려면 내각제든 이원집정부제든 정치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스웨덴은 사민당이 40년 넘게 집권하면서 복지국가 시스템을 마련했어요. 일본도 자민당 장기 집권이 전후 경제 부흥의 바탕이 됐고요. 헬무트 콜 독일 총리도 16년 동안 재임하면서 독일 통일을 이뤄냈고, 영국 보수당 역시 마거릿 대처 총리가 18년 동안 집권하면서 개혁을 이뤄냈습니다. 한국도 내각제 등 제도화된 형태로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