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뒤 주요대학 정시 사라지나…文 '수능 절대평가' 방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교육정책 전망
"수능 1등급, SKY 정원보다 많아질 것"
주요대학 "신입생 어떻게 뽑을지 막막"
"수능 1등급, SKY 정원보다 많아질 것"
주요대학 "신입생 어떻게 뽑을지 막막"
오는 7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확정을 앞두고 ‘수능 절대평가’ 전환 여부가 교육계 핫이슈로 부상했다. 절대평가 시행으로 수능의 변별력이 크게 떨어질 경우, 주요 대학은 수능전형인 정시모집 폐지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11일 대학과 고교, 시민단체, 입시업체 등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수능 절대평가 여부가 주목받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전환 방침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여러 교육 공약 가운데 수능 제도 변화는 대입과 직결돼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의 수능 절대평가 방침이 독창적이거나 생소한 정책은 아니다. 교육 당국은 이미 큰 틀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맞물려 수능 개편을 논의해왔다. 내년 고1 학생들부터 적용되는 바뀐 교육과정에 발맞춰 이들이 대입을 치르는 2021학년도 수능도 바뀌어야 하는 상황이다. 수능 한국사는 절대평가를 하고 있으며 올 11월 치러지는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도 절대평가로 바뀐다.
쟁점은 2021학년도 수능부터 국어·수학·탐구 등 전 영역으로 절대평가를 확대할지 여부다. 기존 상대평가 방식은 성적순 상위 4% 이내만 1등급을 받았다. 절대평가에선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이면 1등급이다. ‘쉬운 수능’과 ‘자격고사화’를 표방하는 전면 절대평가의 성격상 변별력이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대학들은 수능이 전형요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으로 봤다. 김응빈 연세대 입학처장은 “수능 절대평가가 되면 1등급 숫자가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입학정원보다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성진 성균관대 입학처장도 “특정 대학 특정 학과에 동점자들이 몰리면 지원자를 선별해낼 방법이 마땅찮다”고 털어놓았다.
결과적으로 수능 위주 전형은 사실상 무력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시 폐지론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김현 서울경인지역입학처장협의회장(경희대 입학처장)은 “수능 전면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정시는 주요 대학 입학전형에서 대부분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절대평가로 인해 수능 변별력이 떨어지고 연쇄적으로 주요 대학 정시가 폐지되면 재수생 이상 고교 졸업생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 재수생은 고교 성적이 중요한 학교생활기록부 위주 수시전형 대신 정시에 지원하는 케이스가 대다수다.
한 교육계 인사는 “대통령이 자신을 대입부터 사법시험, 대선까지 재수한 ‘재수 전문가’라고 소개하지 않았나. 그런데 이 공약대로라면 재수해 좋은 대학에 가기 어려워진다는 게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
2021학년도 수능 개편 방향을 연구하면서 고교 진학지도교사와 대학 입학처장들 대상 설문을 진행한 이규민 연세대 교육학과 교수는 “고교 시절 학업에 집중하지 못해 내신 성적이 안 좋은 학생에게도 재도전 기회를 주는 측면에서 정시 수능전형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이 나왔다”고 귀띔했다.
‘풍선 효과’도 걱정된다. 수능을 대체할 새 전형요소로 대학별 고사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김진화 서강대 입학처장은 “수능으로 학생들 뽑기가 어려워지면 강화된 자체 면접 실시 등 대학도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연히 또 다른 사교육이 생겨날 수 있다.
수능 절대평가 전면 도입이 단순한 점수체제 변환이 아닌 만큼 전체 대입전형 변화나 수험생의 예측가능성과 연계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절대평가의 교육적 가치나 방향성 못지않게 ‘방법론’도 중요하다. 이금수 EBS 진로진학 담당 전속교사는 “수능 절대평가는 정확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면밀히 검토해 시행해야 한다. 학생들을 실험대 위에 올려놓는 입시제도 변화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1일 대학과 고교, 시민단체, 입시업체 등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수능 절대평가 여부가 주목받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전환 방침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여러 교육 공약 가운데 수능 제도 변화는 대입과 직결돼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의 수능 절대평가 방침이 독창적이거나 생소한 정책은 아니다. 교육 당국은 이미 큰 틀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맞물려 수능 개편을 논의해왔다. 내년 고1 학생들부터 적용되는 바뀐 교육과정에 발맞춰 이들이 대입을 치르는 2021학년도 수능도 바뀌어야 하는 상황이다. 수능 한국사는 절대평가를 하고 있으며 올 11월 치러지는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도 절대평가로 바뀐다.
쟁점은 2021학년도 수능부터 국어·수학·탐구 등 전 영역으로 절대평가를 확대할지 여부다. 기존 상대평가 방식은 성적순 상위 4% 이내만 1등급을 받았다. 절대평가에선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이면 1등급이다. ‘쉬운 수능’과 ‘자격고사화’를 표방하는 전면 절대평가의 성격상 변별력이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대학들은 수능이 전형요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으로 봤다. 김응빈 연세대 입학처장은 “수능 절대평가가 되면 1등급 숫자가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입학정원보다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성진 성균관대 입학처장도 “특정 대학 특정 학과에 동점자들이 몰리면 지원자를 선별해낼 방법이 마땅찮다”고 털어놓았다.
결과적으로 수능 위주 전형은 사실상 무력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시 폐지론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김현 서울경인지역입학처장협의회장(경희대 입학처장)은 “수능 전면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정시는 주요 대학 입학전형에서 대부분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절대평가로 인해 수능 변별력이 떨어지고 연쇄적으로 주요 대학 정시가 폐지되면 재수생 이상 고교 졸업생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 재수생은 고교 성적이 중요한 학교생활기록부 위주 수시전형 대신 정시에 지원하는 케이스가 대다수다.
한 교육계 인사는 “대통령이 자신을 대입부터 사법시험, 대선까지 재수한 ‘재수 전문가’라고 소개하지 않았나. 그런데 이 공약대로라면 재수해 좋은 대학에 가기 어려워진다는 게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
2021학년도 수능 개편 방향을 연구하면서 고교 진학지도교사와 대학 입학처장들 대상 설문을 진행한 이규민 연세대 교육학과 교수는 “고교 시절 학업에 집중하지 못해 내신 성적이 안 좋은 학생에게도 재도전 기회를 주는 측면에서 정시 수능전형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이 나왔다”고 귀띔했다.
‘풍선 효과’도 걱정된다. 수능을 대체할 새 전형요소로 대학별 고사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김진화 서강대 입학처장은 “수능으로 학생들 뽑기가 어려워지면 강화된 자체 면접 실시 등 대학도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연히 또 다른 사교육이 생겨날 수 있다.
수능 절대평가 전면 도입이 단순한 점수체제 변환이 아닌 만큼 전체 대입전형 변화나 수험생의 예측가능성과 연계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절대평가의 교육적 가치나 방향성 못지않게 ‘방법론’도 중요하다. 이금수 EBS 진로진학 담당 전속교사는 “수능 절대평가는 정확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면밀히 검토해 시행해야 한다. 학생들을 실험대 위에 올려놓는 입시제도 변화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