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티베트·네팔 10만 셰르파는 강족이 세운 서하국 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절반의 중국사
가오훙레이 지음 / 김선자 옮김 / 메디치 / 1044쪽 / 4만8000원
가오훙레이 지음 / 김선자 옮김 / 메디치 / 1044쪽 / 4만8000원
중국은 다민족 국가다. 한족이 인구의 절대다수인 91.5%를 차지하지만 인구의 8.5%에 불과한 55개 소수민족이 전체 영토의 64%를 차지하고 있다. 그나마 한족도 순전히 하나의 민족은 아니다. 흉노, 돌궐, 선비, 거란, 몽골, 여진 등 수많은 이민족이 중원을 수시로 지배하면서 한족에 녹아들었다. 화하족(華夏族)을 원류로 한 한족이 지금처럼 비대해진 것은 그런 결과다. 그런데도 중국 역사는 한족 중심으로 기술돼 왔고 소수민족은 역사의 중심에서 제외됐다.
《절반의 중국사》는 이런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쓴 중국 소수민족 이야기다. 저자 가오훙레이는 “지금까지 우리가 ‘중국사’라고 불러온 것은 반쪽짜리 중국사”라고 단언한다. 그는 “역사학자 대부분은 중원 왕조의 흥망성쇠만 기록하고 여러 소수민족에 대해서는 아주 가끔씩만 언급해왔다”며 “그나마 중원 왕조와 얽힌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살짝 짚고 넘어가는 정도에 불과했다”고 비판한다.
중국 민족사학 연구자이자 작가인 저자는 현재 55개 소수민족의 기원이 되는 흉노, 유연 등의 초원민족, 선비·강·저 등의 유목민족을 비롯해 돌궐, 말갈, 거란, 토번(티베트족), 몽골, 오아시스 왕국을 세웠던 월지, 누란 등 현재의 중국 영토에서 살았던 18개 민족의 기원과 흥망성쇠를 이야기체로 풀어냈다. 역사적 사실에다 다양한 시와 고사성어, 문학적 문체를 곁들여 각 소수민족의 기나긴 역사 속으로 안내한다. 18개 민족의 이야기는 독립적이어서 책의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된다.
중국 고고학자들의 고증에 따르면 만주족의 조상은 백두산과 흑룡강 사이에 살았던 말갈이다. 이들은 선진 시대에는 숙신, 한·위 시대엔 읍루, 남북조 시대엔 물길로 불렸다. 수·당 시대에 와서 말갈로, 오대(五代) 시기엔 여진으로 이름을 바꿨다. 여진의 아골타가 1115년 건국한 금(金)은 북송을 무너뜨릴 만큼 강성했지만 칭기즈칸의 등장으로 120여년 만에 몰락했다. 백두산과 흑룡강 사이로 쫓겨나 침잠하던 여진은 그러나 1616년 후금을 세워 명나라를 무너뜨리고 중국사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체제를 갖춘 청나라를 개창했다. ‘마지막 황제’ 푸이를 끝으로 청나라는 문을 닫았지만 지금도 중국 전역에는 1068만명의 만주족이 살고 있다.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토벌하던 전쟁에 참여한 ‘8국 연합군’의 하나가 강족(羌族)이었다. ‘서쪽 이민족’을 뜻하는 서융(西戎)의 일부였던 강은 서부에서 가장 강성한 부족인 견융으로 성장해 주나라, 진나라와 대립했다. 강족은 현재의 쓰촨성을 비롯해 티베트, 신장 등지에 폭넓게 거주했다. 11세기 초 현재의 닝샤후이족자치구에 세워진 서하국이 바로 강족의 후예인 당항강이 세운 나라였다. 국호는 대하(大夏)였지만 송나라 서북쪽에 있다고 해서 서하(西夏)라고 불렸다. 1227년 칭기즈칸의 몽골군에 의해 서하가 무너진 뒤 쓰촨을 거쳐 남서쪽으로 도망친 사람들이 오늘날 티베트와 네팔 일대에 살고 있는 10만여명의 셰르파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몽골 초원을 몇 세기 동안 주름잡다 유럽까지 진출한 흉노족, 흉노의 동쪽에 산다고 해서 ‘동호(東胡)’라고 불렸던 민족의 후예들인 오환과 선비, 초원을 지배하다 당나라에 밀려 서천(西遷)을 거듭하며 인도·아프가니스탄·터키까지 진출한 돌궐, 칭기즈칸의 몽골, 카자흐인의 조상인 오손(烏孫), 중국 남방의 오래된 종족인 월(越), 4700년 전부터 타클라마칸 사막 동부의 로프노르 호수 주변에 살았으나 사막화와 함께 신비롭게 사라져버린 누란왕국 등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소수민족의 역사를 되살리겠다는 저자의 뜻과 달리 이 책은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 중국 영토에 존재했던 모든 왕조와 민족의 장구한 역사를 모두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역사공정’의 관점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어서다.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을 말갈의 지도자라고 하고, 당 현종이 대조영을 발해군왕에 책봉했다는 식의 기술이 대표적이다. 책을 번역한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위원이 150여쪽의 역주를 촘촘히 달아놓은 이유다. 생소한 용어에 대한 설명은 물론 객관성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 국내외 학계의 최신 연구 동향까지 소개해 중국식 역사공정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배려했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절반의 중국사》는 이런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쓴 중국 소수민족 이야기다. 저자 가오훙레이는 “지금까지 우리가 ‘중국사’라고 불러온 것은 반쪽짜리 중국사”라고 단언한다. 그는 “역사학자 대부분은 중원 왕조의 흥망성쇠만 기록하고 여러 소수민족에 대해서는 아주 가끔씩만 언급해왔다”며 “그나마 중원 왕조와 얽힌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살짝 짚고 넘어가는 정도에 불과했다”고 비판한다.
중국 민족사학 연구자이자 작가인 저자는 현재 55개 소수민족의 기원이 되는 흉노, 유연 등의 초원민족, 선비·강·저 등의 유목민족을 비롯해 돌궐, 말갈, 거란, 토번(티베트족), 몽골, 오아시스 왕국을 세웠던 월지, 누란 등 현재의 중국 영토에서 살았던 18개 민족의 기원과 흥망성쇠를 이야기체로 풀어냈다. 역사적 사실에다 다양한 시와 고사성어, 문학적 문체를 곁들여 각 소수민족의 기나긴 역사 속으로 안내한다. 18개 민족의 이야기는 독립적이어서 책의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된다.
중국 고고학자들의 고증에 따르면 만주족의 조상은 백두산과 흑룡강 사이에 살았던 말갈이다. 이들은 선진 시대에는 숙신, 한·위 시대엔 읍루, 남북조 시대엔 물길로 불렸다. 수·당 시대에 와서 말갈로, 오대(五代) 시기엔 여진으로 이름을 바꿨다. 여진의 아골타가 1115년 건국한 금(金)은 북송을 무너뜨릴 만큼 강성했지만 칭기즈칸의 등장으로 120여년 만에 몰락했다. 백두산과 흑룡강 사이로 쫓겨나 침잠하던 여진은 그러나 1616년 후금을 세워 명나라를 무너뜨리고 중국사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체제를 갖춘 청나라를 개창했다. ‘마지막 황제’ 푸이를 끝으로 청나라는 문을 닫았지만 지금도 중국 전역에는 1068만명의 만주족이 살고 있다.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토벌하던 전쟁에 참여한 ‘8국 연합군’의 하나가 강족(羌族)이었다. ‘서쪽 이민족’을 뜻하는 서융(西戎)의 일부였던 강은 서부에서 가장 강성한 부족인 견융으로 성장해 주나라, 진나라와 대립했다. 강족은 현재의 쓰촨성을 비롯해 티베트, 신장 등지에 폭넓게 거주했다. 11세기 초 현재의 닝샤후이족자치구에 세워진 서하국이 바로 강족의 후예인 당항강이 세운 나라였다. 국호는 대하(大夏)였지만 송나라 서북쪽에 있다고 해서 서하(西夏)라고 불렸다. 1227년 칭기즈칸의 몽골군에 의해 서하가 무너진 뒤 쓰촨을 거쳐 남서쪽으로 도망친 사람들이 오늘날 티베트와 네팔 일대에 살고 있는 10만여명의 셰르파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몽골 초원을 몇 세기 동안 주름잡다 유럽까지 진출한 흉노족, 흉노의 동쪽에 산다고 해서 ‘동호(東胡)’라고 불렸던 민족의 후예들인 오환과 선비, 초원을 지배하다 당나라에 밀려 서천(西遷)을 거듭하며 인도·아프가니스탄·터키까지 진출한 돌궐, 칭기즈칸의 몽골, 카자흐인의 조상인 오손(烏孫), 중국 남방의 오래된 종족인 월(越), 4700년 전부터 타클라마칸 사막 동부의 로프노르 호수 주변에 살았으나 사막화와 함께 신비롭게 사라져버린 누란왕국 등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소수민족의 역사를 되살리겠다는 저자의 뜻과 달리 이 책은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 중국 영토에 존재했던 모든 왕조와 민족의 장구한 역사를 모두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역사공정’의 관점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어서다.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을 말갈의 지도자라고 하고, 당 현종이 대조영을 발해군왕에 책봉했다는 식의 기술이 대표적이다. 책을 번역한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위원이 150여쪽의 역주를 촘촘히 달아놓은 이유다. 생소한 용어에 대한 설명은 물론 객관성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 국내외 학계의 최신 연구 동향까지 소개해 중국식 역사공정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배려했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