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첫 전화통화에서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와 관련한 기존 의견 차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아베 총리에게 “한·일 위안부 합의를 국민이 수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2015년 타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는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타결해 최종 종결을 약속한 것을 말한다. 이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는 위로금 명목으로 10억엔(약 100억원)을 한국에 지급했다. 이후 일본 정부 인사들이 위안부 합의 사실을 거론하며 주한 일본대사관 인근 등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면서 갈등이 커졌다.

문 대통령은 “민간 영역에서 일어난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나서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국민 정서를 인정하면서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했다.

이어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김대중·오부치 선언 내용을 일본이 계승할 것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과거사 문제는 양국 관계를 고려해 함께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재협상을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아베 총리는 “이른 시일 내에 만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착실히 이행하길 기대한다”며 기본 입장을 밝혔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도 “과거사 문제가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발목을 잡아선 안 된다”고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