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노조 양보는 필수, 공공요금 인상도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종석의 뉴스 view
경영합리화 없이 정규직 전환 매달리면
공공서비스 유지 어려워
경영합리화 없이 정규직 전환 매달리면
공공서비스 유지 어려워
비정규직을 둘러싼 문제의 핵심은 근로조건의 격차다. 임시직, 파견·용역 근로자들은 원청 모기업 소속 근로자보다 임금, 복리후생 수준이 훨씬 낮다. 인천공항공사 직원 1100여 명의 평균 보수는 월 700만원 수준이다. 반면 대부분이 외주업체 소속인 용역근로자 6400여 명은 평균 300만원을 받는다. 용역근로자 수가 이렇게 많은 것은 국제공항 특성상 보안, 시설관리, 청소, 수하물처리 등 업무분야가 다양해 공항공사가 직접 수행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외부 용역을 통해 인건비를 줄이려는 목적도 있다.
용역근로자는 소속 용역업체와 원청업체인 공공기관 간의 계약이 끝나면 일자리를 잃게 된다. 근로자가 원청업체나 용역업체 중 어디에 소속되느냐에 따라 근로조건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이른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다. 비정규직 문제는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국정과제였다. 2013~2015년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계획을 추진했다. 비정규직 문제는 상시 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용역근로자를 원청 소속으로 바꾸면 해결된다.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 상시 업무의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인지, 소요 재원은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등 만만찮다. 게다가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의 상급단체가 다른 경우 갈등을 빚은 사례를 민간기업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인천공항공사 정규직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공공노련에, 용역근로자 상당수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에 소속돼 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사·정의 노력과 국민적 이해가 뒷받침돼야 한다. 경영진은 정규직 전환방안과 함께 경비절감, 임금수준 조정 등 경영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인건비 부담을 감안할 때 노조도 임금 상승분의 일부 양보가 불가피하다. 공항, 병원, 학교 등 공공서비스 이용요금 인상을 감내하는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하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조율하고 해결할 책임은 공공서비스 공급 주체인 정부에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인천공항을 방문한 자리에서 노·사·정의 고통 분담을 강조했다. 노동자들도 한꺼번에 다 받으려 하지 말고 차근차근 해나가자는 당부도 덧붙였다.
합리적 인식이라는 평가와 함께 새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법에 대한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새 정부의 정책의지를 오판한 공기업 노사가 경영합리화나 양보 등의 노력 없이 실적 달성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그 결과는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 부담으로 귀결된다. 비정규직 대책이 민간부문으로 단기간 확대되는 것도 문제다. 공기업·대기업 부문과 영세부문 간 격차가 더 커질 수 있어서다. 노동시장의 구조가 삼중, 사중으로 변질되는 부작용도 고민해야 한다.
최종석 노동전문위원 jsc@hankyung.com
용역근로자는 소속 용역업체와 원청업체인 공공기관 간의 계약이 끝나면 일자리를 잃게 된다. 근로자가 원청업체나 용역업체 중 어디에 소속되느냐에 따라 근로조건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이른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다. 비정규직 문제는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국정과제였다. 2013~2015년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계획을 추진했다. 비정규직 문제는 상시 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용역근로자를 원청 소속으로 바꾸면 해결된다.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 상시 업무의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인지, 소요 재원은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등 만만찮다. 게다가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의 상급단체가 다른 경우 갈등을 빚은 사례를 민간기업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인천공항공사 정규직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공공노련에, 용역근로자 상당수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에 소속돼 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사·정의 노력과 국민적 이해가 뒷받침돼야 한다. 경영진은 정규직 전환방안과 함께 경비절감, 임금수준 조정 등 경영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인건비 부담을 감안할 때 노조도 임금 상승분의 일부 양보가 불가피하다. 공항, 병원, 학교 등 공공서비스 이용요금 인상을 감내하는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하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조율하고 해결할 책임은 공공서비스 공급 주체인 정부에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인천공항을 방문한 자리에서 노·사·정의 고통 분담을 강조했다. 노동자들도 한꺼번에 다 받으려 하지 말고 차근차근 해나가자는 당부도 덧붙였다.
합리적 인식이라는 평가와 함께 새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법에 대한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새 정부의 정책의지를 오판한 공기업 노사가 경영합리화나 양보 등의 노력 없이 실적 달성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그 결과는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 부담으로 귀결된다. 비정규직 대책이 민간부문으로 단기간 확대되는 것도 문제다. 공기업·대기업 부문과 영세부문 간 격차가 더 커질 수 있어서다. 노동시장의 구조가 삼중, 사중으로 변질되는 부작용도 고민해야 한다.
최종석 노동전문위원 js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