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 자동차 퇴출과 석탄화력발전소 감축 등을 공약으로 제시한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에너지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정유업계와 석탄발전업계는 울상인 반면 액화석유가스(LPG)업계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업계는 표정 관리에 들어갔다.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경유 승용차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퇴출시키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업계는 정부가 경유에 붙는 세금을 끌어올려 소비를 억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 등 정유회사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경유는 버스와 트럭 등 유류 소비가 많은 차종에 쓰여 판매량이 휘발유의 두 배를 웃돈다.

반면 SK가스와 E1 등 LPG업계는 문 대통령의 LPG 자동차 확대 공약이 LPG 판매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LPG차는 휘발유차, 경유차와 달리 사용 제한이 있다. 장애인·국가유공자를 제외한 일반인은 7인승 이상 다목적 차량(RV)과 배기량 1000㏄ 미만 LPG차만 살 수 있다. LPG차 규제가 완화돼 일반인이 5인승 이상 RV차와 배기량 1000㏄ 초과 차량을 살 수 있게 되면 LPG차가 늘어나는 만큼 LPG 연료 판매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경유차와 함께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된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남동발전과 동서발전 등 발전공기업들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석탄발전 축소를 위해 발전용 유연탄에 붙는 개별소비세와 수입부과금 등 세금 인상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당 30원인 유연탄 세금을 LNG(89원) 수준으로 올릴 경우 발전비용이 높아지는 탓에 LNG발전소와의 가동 경쟁이 불가피해진다. 발전비용이 낮은 순서로 전기를 사들이는 전력시장 규정상 유연탄 세금 인상은 석탄화력발전소 가동률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에너지와 SK E&S 등이 운영하는 LNG 발전소는 상대적으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LNG 민간 발전사 관계자는 “초미세먼지 발생에 따른 환경비용 등을 감안하면 발전용 유연탄 세금을 올려 LNG 등 친환경 발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