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기의 굿모닝 월스트리트] 월가 펀드매니저의 절반 “주가하락 대비한 헤지거래 않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달러 베팅접고, 나스닥에 집중
월가의 펀드매니저들이 달러 강세에 대한 베팅을 접고 있다. 대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목에 대한 투자를 집중적으로 늘리고 있다.
16일(현지시간) BoA(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의 5월 설문조사(FMS)를 보면 월가 펀드매니저의 26%는 ‘가장 인기있는 거래’로 나스닥 투자(Long Nasdaq)를 꼽아 1위에 올랐다. 최근 5개월 연속 1위였던 ‘달러 매수(dollar long)’는 3위(12%)로 밀렸다. 2위는 유럽증시 투자(15%)가 차지했다.
나스닥에 상장된 테크기업에 투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눈부신 실적 때문이다. IT 기업들의 강력한 실적에 힘입어 나스닥 지수의 상승률은 올들어 14.6%(16일 종가기준)를 기록, 다우지수(6.1%)를 배 이상 앞서고 있다.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을 비롯,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과 아마존,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상위 5개 기업이 나스닥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는다. 올해 애플과 아마존, 페이스 북, 넷플릭스의 주가는 모두 약 30%가 올랐다. 알파벳도 21%가 상승했다.
사상 최고수준을 기록중인 미국 증시가 과열됐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지만 위험자산 선호현상 역시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펀드매니저중 절반 가까운 47%는 지수 조정에 대비한 헤지거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역으로 53%만이 향후 3개월래 급격한 증시하락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이 비율은 전달 68%에서 15%포인트나 급락했다. 2014년 1월 이후 최저치다.
반면 나스닥에 대한 쏠림을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매달 나오는 이 설문조사에서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눈여겨 보는 항목은 ‘가장 인기있는 거래(표 참조)’다. 가장 많은 투자금이 몰려들고 있다는 뜻이지만, 그만큼 거품이 끼여있어 발을 뺄 때가 다가온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최근에는 유럽증시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 한 달간 월가 펀드매니저들의 유로존 주식에 대한 투자비중은 2015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증시가 과열됐다고 보는 비율도 37%로 2000년 1월이후 최고수준까지 올랐다.
BoA의 마이클 하트넷 수석투자전략가는 그러나 “투자 심리는 여전히 낙관적”이라며 “글로벌 증시 호황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비이성적이라는 신호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펀드매니저중 34%는 향후 글로벌 매크로(거시)전망과 관련, 저물가·고성장을 뜻하는 골디락스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펀드매니저가 꼽은 가장 큰 테일리스크는 ‘중국의 신용긴축(credit tightening)’으로 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중국 금융당국이 과도한 신용을 우려해 위험대출을 줄이는 노력을 강화하면서 단기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다. 이어 ‘글로벌 채권시장 붕괴’와 ‘무역전쟁’이 각각 19%와 16%로 2, 3위에 올랐다. 이번 달 설문에 응한 월가의 펀드매니저는 모두 213명으로 이들의 운용자산은 6500억 달러에 달한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16일(현지시간) BoA(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의 5월 설문조사(FMS)를 보면 월가 펀드매니저의 26%는 ‘가장 인기있는 거래’로 나스닥 투자(Long Nasdaq)를 꼽아 1위에 올랐다. 최근 5개월 연속 1위였던 ‘달러 매수(dollar long)’는 3위(12%)로 밀렸다. 2위는 유럽증시 투자(15%)가 차지했다.
나스닥에 상장된 테크기업에 투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눈부신 실적 때문이다. IT 기업들의 강력한 실적에 힘입어 나스닥 지수의 상승률은 올들어 14.6%(16일 종가기준)를 기록, 다우지수(6.1%)를 배 이상 앞서고 있다.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을 비롯,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과 아마존,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상위 5개 기업이 나스닥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는다. 올해 애플과 아마존, 페이스 북, 넷플릭스의 주가는 모두 약 30%가 올랐다. 알파벳도 21%가 상승했다.
사상 최고수준을 기록중인 미국 증시가 과열됐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지만 위험자산 선호현상 역시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펀드매니저중 절반 가까운 47%는 지수 조정에 대비한 헤지거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역으로 53%만이 향후 3개월래 급격한 증시하락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이 비율은 전달 68%에서 15%포인트나 급락했다. 2014년 1월 이후 최저치다.
반면 나스닥에 대한 쏠림을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매달 나오는 이 설문조사에서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눈여겨 보는 항목은 ‘가장 인기있는 거래(표 참조)’다. 가장 많은 투자금이 몰려들고 있다는 뜻이지만, 그만큼 거품이 끼여있어 발을 뺄 때가 다가온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최근에는 유럽증시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 한 달간 월가 펀드매니저들의 유로존 주식에 대한 투자비중은 2015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증시가 과열됐다고 보는 비율도 37%로 2000년 1월이후 최고수준까지 올랐다.
BoA의 마이클 하트넷 수석투자전략가는 그러나 “투자 심리는 여전히 낙관적”이라며 “글로벌 증시 호황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비이성적이라는 신호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펀드매니저중 34%는 향후 글로벌 매크로(거시)전망과 관련, 저물가·고성장을 뜻하는 골디락스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펀드매니저가 꼽은 가장 큰 테일리스크는 ‘중국의 신용긴축(credit tightening)’으로 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중국 금융당국이 과도한 신용을 우려해 위험대출을 줄이는 노력을 강화하면서 단기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다. 이어 ‘글로벌 채권시장 붕괴’와 ‘무역전쟁’이 각각 19%와 16%로 2, 3위에 올랐다. 이번 달 설문에 응한 월가의 펀드매니저는 모두 213명으로 이들의 운용자산은 6500억 달러에 달한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