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17일 오전 대일 특사인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과 대미 특사인 홍석현 한반도포럼이사장(전 중앙일보·JTBC 회장)이 도쿄와 워싱턴으로 출발한다.
대 중국 특사인 이해찬 전 총리는 18일 오전 베이징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이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각국 정상 또는 최고위급 관계자에게 전달하고, 신 정부 출범의 정치적 의의 및 문 대통령의 철학과 비전에 대해 설명한다.
또 새 정부 대외정책 방향 및 목표에 대한 지지를 구하고, 북핵 문제 등 현안을 둘러싼 협력 외교의 토대 구축을 도모한다.
홍석현 대미 특사는 미국 백악관 또는 국무부 고위 당국자와 만나 6월말 워싱턴에서 개최하기로 한미가 원칙적으로 합의한 정상회담 관련 협의도 진행한다.
최근 방한한 매튜 포틴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이 16일 우리 정부 당국자들과의 면담 때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북핵,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등 현안에 대해 후속 조율을 진행할 전망이다.
문희상 대일 특사는 3박 4일의 방일 기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만나 한일관계 개선 및 대북 공조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 관계의 중대 현안인 위안부 합의에 대한 한국 내 부정적 여론을 전하며 양측이 공감할 수 있는 해법의 필요성을 거론할 전망이다.
문 특사는 위안부 합의의 현상 유지나 파기 및 재협상이 아닌 '제3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최근 주장한 바 있어 주목된다.
이해찬 특사의 중국방문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는 것은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 이후 냉랭했던 한중관계가 실마리를 찾을지 여부다.
이해찬 전 총리가 중국특사로 내정된 건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보복 등 한중 관계가 어느 때보다 어렵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량급 인사를 통해 한중관계 해법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해석할 수 있는 것.
특히 이 전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에도 중국 특사를 한 적이 있어 문재인 정부 초기에 한중 관계가 복원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